강남 데이터바우처 사업관리 가공기업 정보7

서울 강남구 데이터바우처 사업관리 가공기업

서울 강남구 에는 (주)마크로밀엠브레인, (주) 와이드코어, 티벨 외 125개의 가공기업이 있습니다.

광개토연구소 소개

  • 광개토연구소은 2002-09-18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강남구 역삼동 725-32 우일빌딩 1층
  • 주요 서비스 : 1) (특허분석, 특허맵, IP R&D 분석용) 기술군별, 기업별 전처리, 분석 가공, 시각화 처리분석 대상의 특허집합을 input을 넣으면, 다음의 189개 분석 대상의 표 및 시각화 가공대분류(10개;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거래, 분쟁, 키워드, 수익화 기회발굴, 특허 리스크, 미래대비추천, 기술 융합, 핵심 연구자, 관련된 특허분석)중분류(61개; 특허적 연관성 높은 M&A 대상 SME, 수익화 가능성 높은 특허, 입력 특허 포트폴리오에 취약성 높은 기업, 입력 특허의 경쟁력, 리스크 발생 가능성이 높은 권리자 등)소분류(189개; NPE가 보유하고 있는 특허가 심사될 때, 심사관이 집중적으로 인용하고 있는 입력 특허<;기술 분야별>, Forward citation by examiner 특허수
    – 전체 vs.
    거래 이력 <;현재 권리자별>, 입력 특허보다 선행인 유사 특허를 다량 보유하고 있는 기업 <;기술 분야별> 등)
    2) 한국, 미국 특허 도면용 도면 태깅 정보 가공국가별 특허도면에 도면 태그정보를 자동을 붙여주는 솔루션으로 특허명세서에서 추출한 태그정보와 태그정보가 붙은 도면을 만드는 솔루션임도면과 도면내의 indexing(통상 수로 표현), 인덱싱의 위치정보, 도면 태그정보를 바탕으로 도면layer와 위치에 해당하는 태그정보 layer를 가지며, 두 layer를 결합한 형태의 도면태그정보가 결합한 이미지 정보를 제공또한 도면 태그정보를 원하는 언어별로 번역(한<;
    ->영) 제공3) 특허 가치 평가를 위한 특허 데이터 가공평가 대상의 특허집합에 대해 개별 특허별로 자체 평가 가능하도록 최대 250여개의 특허 파라미터 정보를 가공함(기본 서지 정보, (self)(심사관)(피)인용, (국가별) 패밀리, 거래, 라이선스, 소송, 분류(CPC, IPC), NPE, 브랜드, 현재/직전 권리자, 각종 집계 수, 국적, 유형 등)특허별로 평가 파라미터를 제공 및 고객별 협의를 통하여 희망 모델링 방법론 지원 예정
  • 보유 솔루션 : ㅇ 가공 솔루션 정보, 기능
    1) (특허분석, 특허맵, IP R&D 분석용) 기술군별, 기업별 전처리, 분석 가공, 시각화 처리www.patentpia.com으로서비스 연계 방식으로 제공되며, input으로 특허집합을 받으면, 최대 189개의 메뉴별 시각화 및 표를 제공함
    2) 한국, 미국 특허 도면용 도면 태깅 정보 가공한국 또는 미국의 특허집합을 input 받으면, i) 도면태그정보가 결합된 이미지 DB, ii) 도면의 도면태그의 위치정보, iii) 도면별 태그정보(번역정보 포함) DB를 제공함3) 특허 가치 평가를 위한 특허 데이터 가공원하는 특허별로 해당 특허에 평가용 파라미터값을 250여종 붙여주는 방식으로 input으로 특허 집합이 들어오면 해당 특허에 대하여 평가 파라미터 값을 붙인 데이터를 가공하는 방식임4) 기업 평가, 기업의 사업군별 평가를 위한 기술 평가 데이터 가공평가를 원하는 기업이나 기업의 기술분야별로 해당 특허에 평가용 파라미터값을 50여종 붙여주는 방식으로 input으로 기업이나 기업의 기술분야가 들어오면 해당 기업 및 기업의 기술분야에 대하여 평가값을 붙인 데이터를 가공하는 방식임※ 상기 4가지 솔루션은 광개토연구소가 직접 개발한 솔루션임ㅇ 가공 솔루션/SW을 활용한 데이터 가공 업무 범위, 방법
    1) (특허분석, 특허맵, IP R&D 분석용) 기술군별, 기업별 전처리, 분석 가공, 시각화 처리IP R&D 조사 분석 사업, 청사진 사업, Patent Map 사업, 동일 분석 대상의 대규모 업무 조사 업무 처리시 효율적임
    2) 한국, 미국 특허 도면용 도면 태깅 정보 가공조직내의 특허 도면 시스템 구축시, 도면 태그 정보에 대한 전문 검색시스템 구축시, 도면 태그 정보에 대한 번역된 태그 정보 시스템 구축시 활용 가능구축 대상이 되는 국가 및 특허, 실용신안 범위별로 가공 가능3) 특허 가치 평가를 위한 특허 데이터 가공자사/경쟁사 특허에 대한 가치 평가 또는 특허 등급 부여시 특허 가치 평가 시스템 구축시 활용 가능
  • 품질 확보 전략 : 가.
    공인 기관을 통한 품질 인증2013년 및 2017년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의 DB 품질 평가에서 DB 품질 99.9%로 Gold 등급 획득 및 DB 품질 대상에서 금상을 수상하였음.
    공인 기관으로부터 주기적으로 품질 인증 평가를 받고 있음.나.
    품질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 확보관련 데이터의 현행화, DB화, 품질 진단 등 관리2017년, 2018년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K DATA)의 DB 품질 인증획득(Gold Class)한국특허전략개발원의 국가 특허 전략 청사진 DB 구축(AI 기반의 특허맵 자동 확충) 사업(2016~2017)에서 4개국 특허 개별 4,000개 기술(16,000개), 300만 특허대상으로 AI 기반 자동 업데이트 가공시 한국특허 매칭율(100%), 미국특허 매칭율(99.99915%), 유럽특허 매칭율(99.99945%)을 달성함수요기업 또는 외부 리포팅에 따른 오류 수정 절차, 관련한 상품 관리품질관리팀의 주관하에 i) 관련 오류의 원인이 발생한 프로세스를 1차 분석한 후, ii) 해당 팀에서 관련 원인을 분석후 ‘오류 분석 보고서’작성함, iii) 오류관리위원회에서 ‘오류 분석 보고서’를 바탕으로 위원회의 승인하에 해당 오류에 대한 원인 해결과 관련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수정을 관리대장 관리후 진행함관련 오류의 중대성에 따라서 i) 해당 오류 사항이 단일건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면 즉시 반영함을 원칙으로하며, ii) 해당 오류의 원인이 나머지 데이터의 미치는 영향 정도에 따라서 개별 상품의 변경관리 주기(소송<;주>.
    특허, 평가, 키워드<;월>, 도면 태그<;분기>)에 맞추어 업데이트함
  • 유지보수 전략 : 가.
    수요 기업 대상 서비스 제공 계획 및 제공 목표, 관리계획광개토연구소의 모든 데이터 상품은 연계 가능한 링크 정보를 통해 patentpia.com으로 종합적 활용 가능한 권한을 부여함예를 들어 개별 상품에는 링크정보가 있으며, 클릭하면 해당 분석 콘텐츠로 연결 가능함.
    이를 통해, 데이터 사용 고객 기업의 종합적 활용도를 향상시킴.또한 기술분야별 분석 정보 상품에 대해서 고객 기업 맞춤형 기술정보 체계를 patentpia.com에서 주기적으로 활용 가능하게 기술카테고리를 구성하며, 고객 기업의 경우 해당 기업의 기술 카테고리(3 depth, 30 category)를 생성하여 5개국별 100여가지 분석정보를 주기적으로 클릭만으로 확인 가능함수요 기관의 희망 시 데이터를 일정 기간 무상으로 업데이트함.
    기간 후에는 저렴한 비용으로 유료로 업데이트함.
    이를 통해, 중장기적인 협업의 기반을 마련함.나.
    수요 증가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안, 유지보수, 고객관리 및 고객 응대 계획(주)광개토연구소의 모든 데이터 및 서비스는 scalibility(유연한 확장성) 기반 하에서 설계되고 운영되고 있음.
    이에 따라, 수요가 폭증하더라도, 컴퓨팅 파워를 늘이거나, 클라우드 자원을 확대하면 신속하게, 폭등된 수요에 반응할 수 있음.데이터에 대한 유지 보수는 i) 링크 유지, ii) 데이터 하자 보수, iii) 신규 데이터의 공급으로 구분됨.
    활용성을 극대화한 링크 유지는 (주)광개토연구소의 시스템인www.patentpia.com자체의 유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최신으로 유지 보수되고 있음.
    데이터의 하자 등은 무상 보수됨.
    신규 데이터의 공급은 협약 기간 후 1년간은 무상 업데이트가 되며, 그 이후에는 유상 업데이트 됨.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코딩,시각화,정보추출또는조합,태깅또는라벨링,분석
  • 실적 : 가.
    유사 사업 참여 실적 (기존 데이터바우처 사업 제외)AI, 빅데이터, 특허, 기술 분석 관련 다양한 연구개발 서비스 수행중이며, 관련 최적인 인원이 데이터바우처 판매 및 가공 사업을 수행할 예정나.
    기존 데이터바우처 사업: 자연어 처리를 활용한 키워드 추출 데이터의 데이터 바우처 상품 판매공급기업은 2019년도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데이터 바우처 지원사업에 판매기업으로 참여함(참여기업 우수사례 선정)기술군별 평가 정보 포함 특허 평가 데이터 상품으로 판매함: 2019년~2022년 : 127개 기업이 데이터 상품 구매 및 데이터 가공 서비스를 받음다.
    데이터바우처 AI 가공 데이터 우수 기업, AI 바우처 공급 기업 우수 기업 등으로 2022년 인공지능 산업 발전 유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장 수상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가.
    기업 개요㈜광개토연구소는 데이터 기술 기업(data technology company)으로서 2002년 9월 설립 이래로, 20년 이상을 특허 데이터 기반 기술 및 AI/machine learning 적용 서비스를 개발해 오고 있음.AI/빅데이터 시대를 맞아 거의 모든 데이터 분야에서 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등 시장 상황이 좋아지고 있고, 시장 규모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
    특히, 데이터 3법 통과된 2020년부터는 데이터 매출이 크게 늘고 있음.나.
    핵심 역량㈜광개토연구소는 글로벌 특허(US/KR/JP/CN/EU 및 기타 46개국) 특허 full text DB 및 가공 DB 자체 보유거래/소송/평가/NPE 등과 같은 특화 DB 및 유망 기술(키워드 및 속성 분류 포함)/기술 융합 DB 등과 같은 특화된 데이터 자체 보유FDA 승인 물질, MeSH, UNSPSC 등과 같은 특수한 영역별 데이터도 자체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www.patentpia.com을통해서 서비스 하고 있음광개토연구소는 2008년 이래로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기술을 특허 데이터에 적용해 오고 있음.
    ML 기술을 활용한 각종 모델을 통해, 평가 데이터, 예측 데이터 및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음.
    한편, 자체적으로 deep learning 기반의 5종 이상의 개체명 인식(NER, named entity recognition) AI 등과 같은 자연어 처리 기술 및 tagged data를 보유.또한, ㈜광개토연구소는 특허 정보 처리 분야에서 민간 기업 중 최대 특허(약 80여건 이상의 출원 및 등록) 보유.
  • 활용 사례 : ◎ N사(AI가공) : **테이프; 접착제 분야특허 빅데이터 활용 인식 지능 기반 물질
    -물성 라이브러리 구축◎ K사(AI가공) :천연물질/생물전환소재용 바이러스
    -효소/천연물 연계 ** 구축◎ E사(AI가공) :서열 분석 데이터 확보를 통한 바이오물질 특화 ** 고도화◎ C사(AI가공) :특허 도면 인식 기반의 건설 **시스템◎ J사(AI가공) :공공 연구 기관의 특허
    -기술에 대한 ** 이전 타겟 기업 발굴**◎ R사 (일반가공) : 호흡센싱 및 레이더기술 활용 ** 가공◎ I사 (일반가공) : 레이더 센서제품 제조 및 활용** 가공◎ H사 (일반가공) : 헬스케어 인포매틱스 관련** 가공◎ M사 (일반가공) : 바이러스의 분류별 특허(RNA바이러스)** 가공◎ E사 (구매):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필터링 관련** 구매◎ A사 (구매): 2차전지 온도제어+배터리모듈+패키지** 구매◎ W사 (구매) : 가변형 자율주행 퍼스널 모빌리티** 구매◎ T사 (구매) : 반도체 바이오센서에 의한 질병마커 진단** 구매등 127개 기업이 데이터 상품 구매 및 데이터 가공 서비스를 받음

(주)셀디코리아 소개

  • (주)셀디코리아은 2021-03-11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강남구 역삼동 824-25 1715호
  • 주요 서비스 : [ AI기반 수출 데이터 통합 관리 솔루션 ]1.
    셀디 인증으로 수출 채널 간편 연동2.
    수출 채널 통합 상품/주문/물류/정산/마케팅 관리3.
    수출 데이터 통합 수집/분석/가공 맞춤 BI솔루션[중화권 고객 관리 솔루션]1.
    셀디 인증으로 기업계정 연동2.
    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한 맞춤 고객 분류(최적화)2.
    고객 CRM 관리툴 CRM 자동화 관리 (이벤트별 맞춤 푸시알림/메시지 발송 및 고객 유입 분석)
  • 보유 솔루션 : 셀디 : AI 중화권 마케팅 도구AI기반 데이터 통합 관리 솔루션중화권 고객 관리 CRM 솔루션인공지능 기반 채널별 데이터 수집/가공/분석
    – 맞춤 데이터베이스 구축(수집, 연동, 전처리)
    – 태깅, 라벨링
    – 맞춤 분석 / 데이터 품질 관리
    – BI솔루션
    – 클러스터링 모델 고객 군집 생성
    – 군집별 주요 특성 분류
    – 군집 모델 결과 데이터 성과 비교
    – 이탈 예측 모델링(이벤트별 수행)AI셀디랩 : AI기업부설연구소
    – GPU 서버 보유
    – 데이터 분석 전용 클라우드 인프라 보유
  • 품질 확보 전략 : 주식회사 셀디코리아는 중화권 인터넷문화경영 환경에 필요한 인허가 보유 기관으로, 수요기업의 중화권 고객 대상의 솔루션을 안정적으로 지원하며, 서비스 목적에 맞게 맞춤 커스터마이징 지원이 가능합니다.1.
    프로젝트 관리 전략성공적인 사업수행을 위해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점 관리사항을 도출합니다.
    도출된 사항별로 관리전략을 수립하고 관련 절차를 철저히 준수, 적용하여 사업을 납기 내에 성공적으로 완수합니다.
    최적의 SaaS형태 커스터마이징 개발로, 개발 기간 단축과 커스터마이징 및 신속한 맞춤 업데이트를 통한 원할한 운영 환경을 제공드립니다.2.투입 인력 관리 규칙셀디코리아는각 단계별 인력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시기에 적절한 인력을 확보 투입하며, 투입된 인력이 효율적으로 활용되도록 수시로 확인하여 조정합니다.3.품질통합관리 개요사용자의 편의성, 시스템의 호환성 및 확장성에 기반을 두고 표준화를 실시하여 시스템 구축 시 기간 단축, 품질 향상, 처리되는전산 자료의 일관성 확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함과 동시에 통합된 업무 절차를 지원합니다.
  • 유지보수 전략 : 1.
    수요 기업 맞춤 커스터마이징 및 고객 사용 시나리오 검증수요 기업의 고객 사용 시나리오에 맞춘 커스터마이징 개발과 운영/경영 상 필요한 데이터 BI솔루션 구축 지원2.24X365유지보수 지원을 통한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하고 신속한 하자 및 장애 조치를 위해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체계가 수립되어야 합니다.이를 위해 유상ㆍ하자담보 유지보수 방안,유지보수 체계 및 장애처리 방안을 제시합니다3.장애관리 방안개요데이터 분석 인프라 시스템의 기술적,관리적인 장애 대응 및 정기적인 예방활동을 수행하고,긴급 상황에서의 신속한 복구를 지원하기 위해 체계적인 업무 프로세스 수립 및 시스템 안정성과 업무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활동을 수행합니다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코딩,시각화,정보추출또는조합,분석
  • 실적 : 기간업체명수행내용주요 성과22.04.01~22.09.30주식회사 케이*
    -중화권 고객 CRM 통합관리솔루션
    -수출 통합 데이터 수집 및 가공수요예측통한재고자동분배솔루션
    – 수출 ERP,WMS,OMS 솔루션(데이터 분석)
    – 중화권 고객 마케팅 데이터 수집 및 가공분석통한 마케팅자동화솔루션
    – 메신저기반 중화권 고객 예발매 솔루션누적데이터
    -매출260억원
    -주문190만건
    -고객110만명수집가공분석22.08.10~22.09.20주식회사 호텔*22.10.01~22.12.20주식회사 메이*22.09.01~22.12.29산학협력단 대구*22.07.10~22.10.30주식회사 라이*22.08.10~22.10.30주식회사 띵킹*22.07.20~22.10.20농업회사법인바이*22.03.10~22.06.30주식회사 픽셀*22.07.10~22.12.20주식회사 건강*21.05.20~21.11.30주식회사 스타*21.03.15~21.12.20주식회사 사운*21.07.10~22.01.10코레일 네*21.04.10~21.06.20주식회사 마유*21.07.10~21.07.30주식회사 더로*21.06.10~21.08.05주식회사 티지*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주식회사셀디코리아는2017년 중국 인터넷 문화 경영 법인을 시작으로㈜호텔신*,상해 베이직하우*,상해 쥬시쥬*,마인드브릿*,설화*,닥터*,셀퓨전*등한류 뷰티/패션/콘텐츠 상품의 수출 데이터 통합 관리 운영 솔루션(ERP, OWM, WMS, RPA등)을 구축하여 지금까지 약260억 원의 판매 데이터, 190만 건의 주문 데이터, 110만 명 고객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 분석하고 있습니다.[AI기반 수출 통합 관리 솔루션 & 중화권 고객 CRM 관리 솔루션](주)셀디코리아의 중국 현지 법인은 한류 기업의수출 데이터 총괄 운영 관리를 위한행정 인허가(경내 책임,내자법인, EDI경영허가,세관 행정 심사승인서) 권한을 직접보유(해관 신고 시스템 구축)하고 있습니다.또한메신저 기반의 중화권 고객 데이터를 활용한 CRM 솔루션을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중화권 고객 전용 코레일 예발매시스템, KT 중화권 고객 관리 솔루션 외수출, 관광, 외국인 환자 유치업 등의 중화권 고객 대상기업의 고객 데이터 수집/분석을 통해 맞춤 세그먼트 분류 후, 타겟 메시지/SMS 발송 등을 자동화하는 솔루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활용 사례 : 22.12.06 헤럴드뉴스셀디코리아, 중국수출 통합관리 서비스 ‘셀디’ 누적 거래량 200억 돌파셀디코리아는 중국 수출 통합 관리 서비스 ‘셀디’의 누적 거래량이 206억원에 누적 고객 데이터 분석 규모가 93만명을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실제로 셀디를 이용한 한 기업은 기존의 1회성 인플루언서 마케팅 위주의 운영이 아닌 데이터 기반의 채널별 운영 전략과 이익율이 높은 CRM마케팅 자동화를 통해 중국 시장에 진출 5개월 만에 매출 16억원, 구매전환율 14% 개선과 43만명의 고객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었다.『http://www.asiaherald.co.kr/news/26794』

핑거포인트랩(주) 소개

  • 핑거포인트랩(주)은 2017-05-03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강남구 역삼동 837-24 프린스타워 5층
  • 주요 서비스 : ㅇ 서비스의 주요 기술 (해외 진출 추진 자료 활용)
    – Data Sandbox : 손쉽게 Data를 정의하고 전처리 할 수 있도록 하여 Data 전처리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함
    – Analysis & Estimation : 소재에 대한 원료 및 합성물에 대한 분석, 예측을 User Friendly 하게 수행하도록 하여 분석을 통한 Insight 도출을 지원하도록 함
    – Auto modeling & Optimization : AI 및 빅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자동적으로 선택하고 비교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모델링을 지원하도록 하며 또한 조성 및 물성에 대한 다양한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방안을 Simulation 하도록 함 [ 그림 3 ] 서비스의 주요 기술
  • 보유 솔루션 : –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 저장 : 고객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시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 받고 통합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합니다.
    – 데이터 전처리 : 비즈니스 인사이트 와 모델링 기법에 기반하여 분석이 가능한 형태의 Data Set 을 구성합니다.
    – 모델 전처리 : 인공지능 모델별로 특성에 적합하도록 모델 기초 parameter 값을 설정합니다.
    – 모델링 : 비즈니스 목적에 적합한 다양한 모델링 기법을 적용합니다.
    – 모델평가 : 다양한 모델링 기법별로 성능과 오류를 점검하여 적합한 모델링 기법을 선정합니다.
    * 전처리, 모델링, 평가를 순환적이고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다양한 비즈니스 시나리오별로 적합한 모델을 구성하도록 합니다.
    – 모델 재해석 : 모델 구성과정에서 나온 지식을 토대로 초기에 설정한 비즈니스 인사이트와 비교하여 승화된 지식을 발견하도록 합니다.
    – 시각화 : 조직의 여러 이해관꼐자에게 효과적으로 메시지가 전달되고 지속 사용 될 수 있도록 시각화를 지원합니다
  • 품질 확보 전략 : o 전담조직 및 인력
    – 빅데이터 분석 및 AI 컨설팅팀에서 전담조직 운영함
    – 전문 인력 확충을 위하여 Kdata 빅데이터 아카데미 우수 졸업자 채용,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계의 관련분야 전공자 채용, 지인 교수들을 통한 관련학과 졸업생 적극 채용을 합니다.
    – 인력 양성 및 전문화를 위하여 대표이사가 매월 정기적으로 강의를 수행하고 있으며 지식 공유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연구소 순환 근무를 통하여 역량 숙성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o 품질관리 프로세스
    – 품질관리를 위하여 데이터 분석 품질분석을 정의하고 정의된 프로파일링과 기준에 따라 품질분석을 수행합니다.
    이때 체크리스트 준비와 이슈조사를 수행하며 품질측정 결과 보고후에도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위하여 오류 원인분석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며 향후 지속적인 개선 활동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 유지보수 전략 : o 수요기업 대상 서비스 제공 계획 및 제공 목표, 관리계획
    – 수요기업과의 사전협의는 마케팅팀에서 담당하며 상품 및 서비스 제공은 컨설팅팀에서 주관하며 유지보수는 연구소에서 지원하도록 합니다.
    관계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은 마케팅팀을 통하여 업무를 수행한 담당 컨설팅 팀원이 주관하도록 합니다.
    – 고객에게 국내 최고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며 현재 협약 추진중인 해외 선진 기업들의 Know How를 충분히 반영하도록 합니다.
    – 고객을 만나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컨설팅 계획을 설명하는 상담업무는 1차적으로 과장급 이상(인터뷰 스킬 및 대고객 응대 경험 풍부)의 컨설팅팀 직원들이 수행합니다.
    – 소재 제조업종 도메인 지식 기반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기업 상담은 기 경험있는 직원이 포함된 2인 1조가 되어 수행합니다.
    – 매칭후 가공기업 컨설팅팀 직원은 수요기업을 방문하여 현황파악 및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데이터 가공계획을 수립합니다.
    – 고객의 요구사항이 단순 데이터 가공이 아니라 소재 개선을 위한 경험과 노하우에 기반한 전문 지식을 필요로 하는 경우 기 경험한 이사급이상이 요구사항을 명확히 합니다.
    – 파악된 요구사항을 토대로 데이터 가공계획을 수립합니다.
    – 고객이 LDAS 플랫폼을 활용한 데이터저장 및 활용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LDAS 플랫폼을 통하여 데이터의 공유 및 소통하도록 합니다.
    – 고객과의 소통이 가능한 게시판을 운영하여 24시간 서비스요청 접수가 가능하고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도록 관리합니다.
  • 카테고리 구분 : 코딩,시각화,분석
  • 실적 : 사업명사업내용거래처명계약기간사업금액성과통합 환경 분석4개 공장 생산 현장 환경 분석 롯데 케미칼20.12~21.031.0억원미정여수 공장 빅데이터 분석여수 공장 분석 과제(20개) 수행롯데 케미칼19.06~20.120.72억원추정 재무 성과 90억원 Business Intelligence 마스터 플랜데이터 활용 방안 도출 및 분석 추진 계획 수립스타벅스19.08~19.120.39억원사장 보고 후 우선 과제 추진지방세 분석체납 및 수정 사전 감지 분석행정안전부19.10~20.020.3억원체납 및 부정 사전 감지빅데이터 분석 시스템농협 빅데이터 분석 수행 및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농협19.04~20.014.36억원영업 효율 달성빅데이터 분석 마스터 플랜농협 빅데이터 활용 방안 도출 및 분석 추진 계획 수립농협18.11~18.120.72억원농협회장 보고 및 후속 분석사업 추진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연구소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2차)구축 및 추가 분석 과제 수행롯데첨단소재18.11~ 19.041.63억원연구개발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연구소 빅데이터분석빅데이터 분석 과제(20개) 수행롯데 케미칼18.06~18.100.71억원추정 재무 성과 20억원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연구소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1차)구축 및 추가 분석 과제 수행롯데첨단소재18.04~ 18.091.66억원연구개발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전사 빅데이터분석전사 빅데이터 분석 과제(20개) 수행롯데첨단소재17.09~18.020.16억원사장보고 및 롯데 그룹 우수사례 보고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 핑거포인트랩(주)은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컨설팅 및 software 개발 사업을 사업분야로 2017년 5월 3일 창업한 회사입니다.
    – 창업한 대표이사는 1995년 삼성SDS에서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 솔루션을 1년간 개발하였으며 또한 국내 최초로 1996년부터 4년간 KT Data Warehouse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1999년 삼성그룹에서 최초로 Data Mining 강의를 개설하여 3년간 강의를 하였으며 이후 글로벌 IT 컨설팅 기업인 딜로이트 컨설팅과 엑센츄어 컨설팅에서 삼성전자, 삼성SDI, LG전자, LG이노텍, 포스코, 두산 그룹, 두산 인프라코어 LS산전, OCI, 한솔CSN 등 국내 대기업대상으로 빅데이터분석 컨설팅을 수행한 전문가입니다.
    – 또한 데이터산업진흥원 빅데이터분석 전문가 과정 강의(2018년, 2019년)를 수차례 수행하였으며 국내 대기업 대상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강의를 수십 차례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 공군에서 빅데이분석 및 인공지능 자문위원(2018년 ~ 2022년)과 남동발전소 인공지능 자문위원(2018년, 2019년)을 역임하고 있습니다.
    – 기업 모든 직원이 빅데이분석과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Self
    -service Analytics를 가능하도록 하는 손쉬운 빅데이터 분석 체계를 만들도록 하는 최고 전문 기술을 지향점으로 하고 있으며 핵심가치로 삼고 있습니다.
    –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빅데이터분석 및 인공지능 분야에서 5건(2018년, 2019년, 2021년, 2022년)의 연구과제를 수행하였으며 2018년 벤처인증을 받았습니다.
  • 활용 사례 : – 원료 조성의 배합의 가능 영역을 찾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Insight를 증진하도록 함
    – 원하는 화합물의 여러 물성을 만족시키는 원료 조성의 배합의 가능 영역을 모델링과 시각적 도구를 이용하여 User Interactive 하게 결과를 찾도록 함

지코스트 소개

  • 지코스트은 2016-02-15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강남구 역삼로 114 현죽빌딩 847
  • 주요 서비스 : NO구분내용1기초 가공데이터 상태에 따른 식별, 정제, 추출, 변환, 참조 등 가공 업무데이터 전처리 로직 구현원천데이터에 내재하는 데이터의 불일치성을 교정 (오류 데이터 제거, 대체, 보강, 보정 등)2공간 정보 가공 (시각화/대시보드)위치정보를 다양한 공간 정보와 결합하여 공간 정보 생성3웹로그 데이터 가공/분석웹(모바일, PC) 로그를 분석하여 필요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화정보추출을 위한 기준 수립 및 레퍼런스 데이터 구축URL 등 크롤링 기술 적용 및 이용자 특성, 트랜드 등 분석 알고리즘 적용4통계모델링 가공분류 모델(트리기반 모델, 최적화 기법, 기계학습)예측 모델(회귀분석, 시계열 분석, 인공신경망)군집화 모델(계층적/비계층적 군집 분석)연관 규칙 모델(연관관계 분석)5AI 가공기계학습을 이용한 복잡한 자료구조 분석머신러닝을 이용한 추정/예측 모델, 패턴분석, 매출 예측, 최적화 추천 가공 기술(영상인식, 문자인식 등)6텍스트마이닝웹 데이터, SNS데이터, 비정형 문서 데이터 구축(크롤링 알고리즘 적용)비정형 데이터 정형화 기준 수립, 키워드 등록 가능키워드 추출 및 키워드에 대한 탐색적 자료 분석
  • 보유 솔루션 : NO가용자원내용비고1서버 장비웹서버5대자사 직접 운용,CLOUD 기반 운영DB3대DEVEL2대GPU서버1대2DB 툴RDBMSPostgreSQLMariaDBMongoDB최신 기술 적용3AI 툴Python, R, TensorFlow, Pytorch최신 기술 적용4분석&시각화 툴Jupyter 기반 자사 개발 플랫폼자체개발 및 운용
  • 품질 확보 전략 : – 데이터의 무결성을 위해 데이터의 형상관리 표준화 및 품질관리에 대한 표준쳬계를 정립하여 수집되는 데이터에 대한 상시 품질점검이 가능한 체계를 정립함
    –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업무규칙과 예외처리에 대한 업무규칙을 통해 무결성 데이터를 생산함
    – 데이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개인정보등 민감 정보를 포함할 경우 비식별화 절차를 통하여 데이터 안정성 확보
    – 품질관리 사업조직에서 제시하는 품질관리 매뉴얼 및 지침 준수[ 데이터 품질 지표 목록 ]분류진단 기준대상일관성중복 일관성동일한 데이터를 중복하여 관리하는 경우에 원천데이터와 중복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고 같은 값을 가지고 있는지를 진단하는 지표값표준 일관성데이터 표준(도메인, 단어, 용어, 코드)을 적용하고 준수하고 있는지를 진단하는 지표표준유효성범위 유효성각 테이블의 속성에 대한 범위는 정의된 범위를 준수해야 한다값날짜 유효성날짜형식 값은 YYYY
    -MM
    -DD 형식을 준수해야 한다값형식 유효성성별, 결혼여부 등의 형식은 F/M 등의 형식으로 표현한다값정확성논리관계 정확성논리관계가 있는 항목에 대한 논리에 맞게 값이 관리되고 있는지를 진단하는 지표값완전성단독 완전성데이터 업무요건에 맞게 항상 채워져 있는지 진단하는 지표값구조 완전성데이터 구조 설계도 체계와 일치하는지를 진단구조보안성정보 보호성민감정보에 대한 비식별화 조치 관련 규정 수립 및 규정에 따라 수행하고 있는지를 진단관리체계적시성데이터 최신성데이터의 수집, 갱신 주기에 따라 최신의 값을 유지하는지 진단하는 지표값
  • 유지보수 전략 : 1) 데이터바우처 사업 목표에 부합
    – 주요 목표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비스 개발, 분석 및 비즈니스를 추진하려는 수요 기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가공하여 공급는 것
    – 수요기업의 데이터와 지코스트가 확보 가능한 데이터(ex.공공데이터)의 융복합을 수요기업에 가공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시장에서의 수요기업의 현재 상황과 향후 지속적인 성장에 이바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2) 다양한 인사이트 제공
    – 데이터 관점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요기업에게 판매 수립, 유지보수 계획 등 다양한 부가정보를 제공 할 수 있으며, 해당 데이터를 통한 수요기업의 비즈니스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바우처 사업을 통해 수요 기업에게 데이터의 적절한 활용방안과 해당 데이터를 통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코딩,시각화,정보추출또는조합,태깅또는라벨링,분석,기타
  • 실적 : 1)2022년 데이터바우처 AI 가공기업(수요기업 : 애드모텍)
    -작업자 안전과 건설장비 트래킹이 가능한 UWB 기반 건설현장 안전서비스
    -실내위치 센서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AI 알고리즘 개발
    -이를 통하여 98%정확도 향상
    1) 클라우드 서비스 솔루션 구축
    – 씨엔비정보기술의 빅데이터 분석 및 가공을 위한 클라우드 환경 구성
    – 빅데이터 분석 및 가공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자사 플랫폼 환경 제공
    – 관련 업무 실적 증빙 자료 첨부
    2) 쇼핑몰 빅데이터를 이용한 AI 알고리즘 연구 개발
    – ㈜씨엔비정보기술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가공 분석하여 고객 추천 AI 알고리즘 개발.
    – AI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온라인 쇼핑몰에서 연령대 성별 지역별로 고객에 따른 맞춤형 상품 제공 가능
    – 관련 업무 실적 증빙 자료 첨부 3) 데이터 수집/가공 관련 사업 성과
    – 데이터 가공 및 분석 기술 개발 지원을 통한 국내 빅데이터 산업발전에 기여
    – 신규 인력 채용으로 청년인재 발굴에 기여
    – 신입 및 내부 직원 대상으로 빅데이터 교육 지속 진행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 ㈜지코스트는 클라우드 및 AI 전문기업으로 중소기업을 위한 전문클라우드 구축과 AI 플랫폼을 활용한 정제, 분석, 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기업으로 6년간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빅데이터분석 및 통계처리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음○ 특히,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IoT플랫폼과 AI 빅데이터플랫폼을 구축하고, IoT 기업들을 대상으로 베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AI를 활용한 쇼핑몰 빅데이터를 이용한 AI 알고리즘 연구개발과 내진장치 및 지진모니터링을 위한 시작품 개발 등을 추진하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기반을 클라우드 기반 IoT플랫폼을 베타서비스로 오픈하고 장치제조사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고, 수집된 데이터를 자사가 개발 서비스중인 빅데이트플랫폼을 활용하여 분석, 융합하여 데이터수집에서 응용까지 전체 과정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데이터분석 관련 활용범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현재 클라우드 기반으로 다양한 IoT 및 스마트팩토리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AI기반의 데이터 처리 분석을 하고자 하는 수요가 점증하고 있고, 실제 접목이 되고 있는 상황이며, 향후 시장성장과 함께 발전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사료됩니다.
  • 활용 사례 : 1) 지코스트의 노하우 전수
    – 지코스트와 이미 협업중인 고객사 (10여개)를 대상으로 데이터 가공, 분석 기술 지원 및 연구지원 등을 통한 수요기업 발굴 우선 진행
    –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통한 서비스 모델의 실현 가능성과 확장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새로운 수요기업 발굴
    2) 중소기업과 데이터 활용기업 발굴
    – 비즈니스 모델을 실증할 수 있는 중소기업, 스타트업 모집 · 선정 후 창업 · 사업화 및 영역 확대를 목표로 지원하여 플랫폼 활용기업으로 육성
    – 자체적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여 성장 가능성이 있는 스타트업과 매칭하거나, 아이디어만 있고 분석 기술이 부족한 경우 우수한 아이디어와 구현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간 매칭 결합 지원
    – 아이디어 경진대회, 데이터 사업 설명회 등 각종 행사나 워크숍을 통한 상호 교류의 장 마련

서클플랫폼 소개

  • 서클플랫폼은 2021-03-24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강남구 역삼로 148 5층 501,503호 굿잡빌딩
  • 주요 서비스 : 서클플랫폼은 자체 개발한 데이터 수집, 전처리 플랫폼을 통해 이커머스 데이터의 정합성을 보장하며 수요기업의 요청에 맞추어 전처리, 품질, 분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 전처리수요기관의 요구사항에 따른 데이터셋 정의, 수집환경 구성, 데이터 수집수집데이터 정제, 시스템 연계, 표준화 모듈설계 및 구현
    2) 품질유사칼럼명 표준화, 속성변환, 클렌징오류데이터, 부정합데이터, Null데이터 식별 및 검증3)분석데이터 분석을 위한 표준 데이터셋 정의 및 컬럼 재정의가설 모델 수립 및 검증인사이트 발굴을 위한 분석 설계
  • 보유 솔루션 : 서클플랫폼은 최적의 인프라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으며, 자체 개발한 SW를 탑재하고 있습니다.플랫폼 및 솔루션 현황Amazon Web Service : Data Collection 동기처리, Data Labeling, Data AnalysisCloudflare : Data Collection 비동기처리Amazon Lamda : Data Collection 비동기처리자체 개발 실시간 데이터 처리 SW
  • 품질 확보 전략 : 1) 검증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현재 운영 중인 ‘셀러박스’ 서비스는 약 15개의 마켓 판매, 정산데이터를 매 시각 단위로 정합성을 체크하며 셀러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데이터 수집, 전처리, 표준화, 시각화 모든 단계마다 데이터 품질을 진단하고 있으며, 검증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Zero Defect Data를 제공합니다.셀러의 실시간 판매데이터를 처리하는 노하우와 기술력으로 데이터의 최신성을 보장하며 개선이 필요한 데이터는 1시간 이내 수정, 개선합니다.
    2) 데이터 전문인력 전담전체 직원 중 75% 이상이 Data Engineer이며 데이터 품질관리 전담 인력 4명을 배정하여 최고 수준의 데이터 품질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데이터바우처 상품은 1일 주기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 유지보수 전략 : 수요기업 비즈니스를 명확히 이해하고 필요한 데이터는 협의를 거쳐 데이터정의서로 문서화하므로 수요기업의 요구사항을 데이터 결과물의 품질 수준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데이터 산출물 도출 과정에서 불분명한 요구사항은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명확히 규정하며 수요기업의 문의에 대응하기 위해 CS 전담인력을 배치합니다.데이터의 해석이 요구되거나, 중대한 사안이 발생한 경우 수요기업을 위해 별도의 보조자료를 제공합니다.당사는 AWS, Google 등 멀티 클라우드 플랫폼을 적용하고 있어 데이터 판매 증가, 수요기업 증가에도 안정적으로 분산처리와 스케일업이 가능합니다.데이터와 관련된 비즈니스 문의도 지속적으로 대응합니다.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분석
  • 실적 : 온라인 큐레이션 앱 ‘셀러박스’ 누적 가입자 5,800명의 사업자 이용PC, 모바일 등 모든 디바이스에서 사용 가능한 ‘셀러키워드’ 출시2022년 데이터바우처 공급 실적 4건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1) 기업개요서클플랫폼은 ‘데이터와 IT기술 기반으로 셀러의 성장을 돕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입니다.셀러는 여러 마켓에서 판매하고 있어 매일 판매실적을 취합하는 일조차 시간이 걸리고, 시장 및 경쟁상품 분석, 소비자 반응 확인은 더욱 어렵습니다.
    당사는 빅데이터 수집, 분석, 시각화를 통해 모든 셀러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 운영서비스“셀러박스”여러 마켓에 흩어져 있는 판매, 정산, 소비자 리뷰 데이터 등을 모바일 App 하나로 통합 조회하는 서비스“셀러키워드”특정 키워드의 시장 규모, 상위셀러 매출, 특정상점 순위 확인, 실시간 소비자 트렌드 등 셀러가 클릭 몇 번으로 빠르게 시장을 분석하는 서비스“데이터바우처 공급기업 (2년 연속)”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데이터바우처 공급기업으로 선정되어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3) 연혁2021년 3월 법인 설립2021년 8월 Seed 투자 유치2022년 1월 2022년 데이터바우처 공급기업 선정2022년 3월 데이터 큐레이션 앱 ‘셀러박스’ 정식버전 출시2022년 5월 ‘온라인 커머스 데이터 기반의 큐레이션 서비스’ 특허 출원2022년 6월 기업부설연구소 설립2022년 6월 강남구 유망 스타트업 선정2022년 7월 K
    -스타트업 혁신창업리그 서울지역대표 선발2022년 7월 신용보증기금 start
    -up NEST 12기 선정 (상위 10% 우수기업 수상)2022년 9월 제7회 4차산업혁명 POWER KOREA 스마트빅데이터상 수상2022년 10월 시장 규모 및 경쟁 상점 분석 솔루션 ‘셀러키워드’ 출시4) 핵심역량이커머스 데이터 분석에 뛰어난 역량을 갖춘 전문인력커머스/데이터 비즈니스 사업 경험방대한 이커머스 데이터의 실시간 수집 및 분석 플랫폼
  • 활용 사례 : 서클플랫폼은 수요기업의 데이터 요구사항에 맞춘 데이터 가공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 예비셀러, 창업준비자판매를 준비하는 영역의 시장 규모, 경쟁 셀러 수, 소비자의 관심 키워드, 상위 셀러의 판매량 추이 등 진입 시장에 대한 사전 분석 서비스 제공
    2) 셀러경쟁 상점, 상품의 가격 변동, 판매량 추이 분석, 경쟁 상점의 신규 상품 등록 여부 확인 등 스토어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쟁사 분석 서비스 제공3) 유통사, 제조사상품별 주요 판매채널, 상위 셀러, 카테고리별 셀러 수 등 유통사와 제조사의 4P (Price, Place, Promotion, Product) 전략을 지원하는 분석 서비스 제공4) 학술기관, 연구기관카테고리별 등록 상품 수, 판매량 통계, 시계열 분석, 소비자 관심 키워드 변화 등 이커머스 시장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통계 분석 서비스 제공

주식회사 아이이에스지 소개

  • 주식회사 아이이에스지은 2022-11-28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강남구 역삼로 168 6층 팁스타운에스6
  • 주요 서비스 : 기업들에게 글로벌 차원 ESG 대응 요구가 확산되는 바, 기업의 실질적인 ESG 경영 지원 및 활용을 위해 필요한 ESG 가공 서비스(※ ‘23년 데이터바우처 수요 예보 조사 결과, ESG 관련 수요 多) i
    -ESG 보유 ESG 특화 데이터 및 SW 솔루션 활용하여 수요기업의 데이터를 ESG 특화데이터로 구축, 설계 및 분류하고 빅데이터 분석 가공 서비스 구성: 기업들의 ESG 현황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는ESG 자가진단 서비스,이해관계자의 ESG 연관 Biz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는ESG 중요성이슈 조사 서비스, 전문지식 없이 수요기업 목적에 부합한 보고서 작성을 위한ESG 리포팅 서비스,수요기업의 ESG 현황 파악 및 개선 전략 수립, 이해관계자 향 대응 등으로 활용 기대 i
    -ESG 기술특허 활용한 ESG 특화 데이터
    – 자체 설계된 데이터 알고리즘으로 빠르게 정보수집, 분석, 인사이트 제공
    – 가공서비스 원천데이터는 수요기업에서 제공 후 사업 수행(필요 시 공동수집) 기업 목적에 부합한 데이터 가공A.
    ESG 자가진단
    – 국내외 대표 평가기준 中 공통요소 추출하여 평가항목 구성
    – 글로벌 동향 및 객관적 빅데이터 기반 기업 ESG 현황 신속 파악 가능 및 진단 피드백 제공B.
    ESG 중요성이슈 조사
    – 고비용 외부자문 없이 글로벌 표준 *SASB 기반 신속한 중요성이슈 조사 및 이해관계자 의견 취합 (*SASB; 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미국 지속가능회계기준위원회가 제정한 글로벌 ESG공시 대표 기준)C.
    ESG 공시 리포팅
    – 전문지식 없이 수요기업의 목적 및 상황에 맞춘 공시기준 추천 및 입력 통한 ESG 리포팅 작성 지원
    – 디자인 템플릿 및 국/영문 번역 기능 제공
    – (외부자문 시 평균 소요비용 수억원 달하는 비용절감 효과)D.
    (수요기업 향 추가제공 기능) ESG 대시보드
    – 수요기업의 ESG 정보와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AI 개선 피드백, 맞춤형 동향 정보 등 직관적 파악가능 대시보드(
  • 보유 솔루션 : 보유 솔루션 (i
    -ESG 솔루션)A.
    ESG특화 데이터를 수집, 분석, 활용을 용이케하는 자체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보유
    – 고객이 활용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보유
    – ESG 분야 비정형 데이터 수집을 위한 RPA 프로그램 보유
    – ESG 분야 비정형 데이터 정형화를 위한 보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보유(기술 특허 출원)B.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데이터 가공을 위해 AI/빅데이터 관련 당사 보유 특허기술 활용번호출원번호발명의 명칭110
    -2021
    -0007638자가 지도학습을 통한 데이터 특성 학습 방법 및 가짜 정보 판별 방법210
    -2022
    -0097981자연어처리(NLP) 기술을 활용한 ESG 보고서 텍스트 자동 완성 방법310
    -2022
    -0097982보조툴을 활용한 ESG 비정형 데이터의 수집 및 분류 방법410
    -2022
    -0097983인공지능/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ESG 특화 디지털 통합 관리 방법론
  • 품질 확보 전략 : 담당 TF팀 구성 및 신규 전담 인력 채용 등, 품질 확보 위한 전담 내부 조직구성및 전문 컨설팅 기관 통한 판매 데이터 품질 추가 향상 전략 가공서비스 품질확보 내부 전략
    – 품질 제고 위한 전담조직(TF 등) 구성 및 전담인력 신규 채용예정(필요 시)
    – 가공서비스 품질관리 프로세스 수립 「데이터바우처 기술·사업화 컨설팅 지원사업」 활용
    – 당사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주관, 「데이터바우처 기술·사업화 컨설팅 지원사업」최종 선정(‘22.10)
    – 전문 컨설팅 기관 통한 가공서비스 관련 품질 향상 도모 예정
  • 유지보수 전략 : 보수 내용에 따라 유상/무상 구분하여 수요기업 향 유지보수 전담 조직 대응 및 협의 통한 적극 지원수요기업 요청 시 계약 종료 이후, 당사 솔루션 데이터 이관및 이용금액 프로모션 제공 유지보수 계획
    – 유지보수 발생 시 Customer Success 팀에 내용 접수하며, 무상/유상 여부에 대해서는 아래 내용을 바탕으로 수요기업과 상호협의하여 결정구분내용무상 유지보수
    – 계약서 상에 명시된 데이터의 수, 품질에 하자가 있는 경우
    – 무상 유지보수 기간은 데이터 전달 시점으로부터 6개월 이내유상 유지보수
    – 수요기업의 필요에 의해 추가 요청된 데이터 셋
    – 사용자의 고의, 과실 및 천재지변에 의한 사항에 대해서 유실된 데이터 셋 후속 지원 계획
    – 계약 종료 이후 수요기업 당사 솔루션 사용 희망 시, 데이터 이관 및 당사 솔루션 이용금액 프로모션
  • 카테고리 구분 : 시각화,분석,기타
  • 실적 : ‘21.12월 사내벤처 출범 및 ‘22.08 사업자 등록에 따라 최근 3년의 유사사업 참여실적 없으나,다양한 지원사업 및 대외 활동을 통해 검증된 i
    -ESG의 사업역량 및 가능성을 토대로i
    -ESG는 기업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ESG 특화 데이터 제공 가능i
    -ESG 주요 성과’22.12 (파트너십) 네이버클라우드 20202 서밋 공식 참여 (솔루션 소개)’22.10 (네트워킹) 두바이 North Star Dubai 2022 초청 (ESG 분야 Top 10 Startup 선정)’22.09 (네트워킹) 뉴욕 한미 스타트업 그랜드서밋 초청 (네이버클라우드 5개사 초청)’22.09 (인증) 중소벤처기업부 소셜벤처 공식 판정’22.06 (지원프로그램) 한국 SW산업협회 글로벌 API 마켓플레이스 지원 사업 선정’22.06 (파트너십) 한국품질재단, ESG 서비스 연계 공동 협력 (웨비나 등)’22.05 (지원프로그램) 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바우처사업 (AI가공) 선정’22.04 (지원프로그램) 네이버클라우드 SaaS N 프로그램 선정 ’22.03 (파트너십) 미국 BH3C, AI 플랫폼 및 온실가스 관리 분야 공동 협력 NDA 체결 ’21.12 (출범) 포스코그룹 사내벤처 프로그램 정식 선발 및 출범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공급기업 i
    -ESG는‘AI/빅데이터 기반ESG특화 데이터 서비스’제공기업으로빠르게 규제화되고 있는 다양한 글로벌ESG요구에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기업들을 위한객관적인ESG분야 빅데이터 기반 특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포스코 그룹 공식 사내벤처로써 다양한 기업고객들과의사전 인터뷰를 통해 식별한Pain Points에 근거하여솔루션을 도출하고,이를 기반으로 빠른 시장 진입 후글로벌ESG데이터 서비스 분야의 선도기업으로 성장이 목표i
    -ESG기본 개요회 사 명i
    -ESG (아이이에스지)대표이사김종웅주 소강남 역삼로 168 팁스타운 S6, 6F주요제품AI/빅데이터 기반 ESG 특화 디지털 솔루션업 종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표준코드58222사업자번호662
    -50
    -00841 설립일2022.08.30 풍부한 인적 역량기업의 현실적 여건을 이해하는 풍부한 현업경험 및 데이터분석, ESG실무, SW개발 역량보유
    – (현업경험) ESG/에너지 분야 글로벌 사업개발/투자 경력 20년+ : 개도국을 포함한 35개국 내 신사업개발, 협상, 투자, 건설, 운영 프로젝트 주도 : 국내외 다양한 정부/기업(공/민간기업/자문사/국제기구 등) 협력 경험 보유 : 탄소배출권 및 국내 CDM 기술 교육 수료 등
    – (ESG실무) 글로벌 ESG 실무 및 네트워크 보유
    – (데이터분석 및 SW개발) ESG 특화 데이터 분석 및 SW 개발을 위한 핵심인력 보유 : ESG분야 국제기구 및 주요 기관 업무경력, AI 기반 SW개발 인력 신뢰도에 기반한 인적, 조직적 자원국내 ESG 대표 선도기업인 포스코 그룹의 정식 사내벤처로의 노하우 및 신뢰성 보유
    – ESG 선도기업의 노하우와 사내벤처의 신뢰성에 기반한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한 역량 강화
  • 활용 사례 : 수요기업 가공데이터 활용 방안
    – 객관적 글로벌 최신 ESG 데이터 기반 주요 동향 및 요구사항 빠르게 식별
    – 기업 현황 반영한 데이터 도출 따른 ESG 개선 전략 수립
    – 기업 ESG 보고서 작성 등을 통한 국내외 주요 이해관계자 향 대응

(주)아이알엠 소개

  • (주)아이알엠은 2013-01-09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강남구 역삼로 169 4층 아이알엠
  • 주요 서비스 : ◎ 가공업무 프로세스구분가공업무가공단위상세설명데이터 전처리데이터 확보(수집/취합)의료영상데이터 확보/저장/전송로컬/클라우드 PACS 서버의료영상장비 연동의료영상데이터 관리On
    -premise 서버 설치클라우드 플랫폼데이터 전처리 & 파일 변환의료데이터 전처리의료영상 비식별화의료영상 Segmentation/라벨링저화질 영상 노이즈 제거의료영상 파일(DICOM) 변환머신리더블 파일 변환DICOM PDF, JSON, NRRD, NIFTI, JPEG, Matlab, XML 등데이터 유효성 검사의료정보 유효성 검사일관된 데이터 수집 및 보관서식 유효성 검사데이터 누락 방지 인공지능 연구/분석인공지능 연구/분석 보조 서비스플랫폼 서비스연구자 역할별 사용 메뉴 구분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데이터 관리의료영상 판독 도구DICOM Viewer서식데이터 후처리데이터 취합 & 파일변환산출데이터 취합모든 산출 데이터 저장클라우드 플랫폼에서 관리머신리더블 파일 변환AI결과 파일 및 환자정보를 매칭한 DICOM 파일 변환◎ 가공업무 상세 소개
    1) 의료데이터의 확보 (수집/취합) 서비스인공지능 연구를 위한 의료영상데이터 가공을 희망하는 수요기업 중 원활한 데이터 확보 수단을 갖추지 못한 수요자를 대상으로 가공을 희망하는 의료영상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수집 및 취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병원 또는 대학 연구기관 등 의료영상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의 의료영상장비(또는 의료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와의 시스템 연동을 통해 직접 영상데이터를 받아오거나 수요자가 원하는 데이터들만 골라 전송 가능합니다.수요자가 보다 발전된 인공지능 연구·분석을 위한 여러 의료기관 및 연구기관으로부터 의료영상데이터를 취합해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구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수요자의 선호에 따라 On
    -premise 방식의 데이터 관리, 클라우드 플랫폼(IRM Health Engine) 방식의 데이터 관리 중 선택하여 사용가능합니다.
    2) 의료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및 머신리더블 파일 변환 서비스의료영상데이
  • 보유 솔루션 : 1) 의료데이터 확보, 저장, 전송 솔루션 (제품명: SANDWICH)대체로 의료기관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On
    -premise 방식의 의료영상데이터(DICOM) 관리용 Web
    -PACS 서버로 활용되며, 의료기관 내 각종 의료기기 및 의료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 다양한 의료데이터(DICOM, Non
    -DICOM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습니다.수요기업의 의료영상장비 또는 의료영상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가공을 희망하는 영상들만을 선별해 전송해올 수 있으며, 필요시 수요기업 내 연구자의 개인용 의료영상서버 역할로 설치 및운영 가능합니다.클라우드 플랫폼(IRM Health Engine)과 통합 연동하여 클라우드 웹 PACS 및 인공지능 솔루션과 연동한 원격판독 플랫폼 서비스(W
    -Teresa)로 활용 가능합니다.가공업무 범위인공지능 연구·분석 대상 의료영상데이터(DICOM 파일)가 저장된 서버 또는 PACS와 연동 및 대상 데이터 취합
    2) 다기관 공동 영상 연구 서비스 (제품명: BEST Image)각 기관의 의료영상장비 또는 의료영상데이터 관리 서버에서 선별한 의료영상데이터(DICOM)를 클라우드 서버로 추출 및 통합하여 의료영상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다기관 공동 영상 연구 인프라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다기관의 의료영상장비 또는 원내 의료영상데이터 관리 서버에서 의료영상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선별하여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할 수 있으며 저장된 의료영상의 연구를 위한 웹 기반 의료영상 뷰어, e
    -CRF 시스템, 영상 판독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e
    -CRF 시스템으로 환자 임상 정보 및 웹 뷰어로 판독한 영상연구결과를 일정한 서식으로 수집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플랫폼(IRM Health Engine)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습니다.가공업무 범위인공지능 연구·분석 프로세스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서식의 맞춤 제작인공지능 연구·분석 참여자의 플랫폼상 역할을 구분하여 사용자 등록 및 관리인공지능 연구·분석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의료영상데이터 판독자에게 서식
  • 품질 확보 전략 : 비정형 콘텐츠인 의료영상데이터는 품질 관리를 위한 기준이 우선 정의되어야 하나 이는 수요자의 연구마다 다루는 대상 데이터가 달라 특정한 한가지 기준으로 판단하기 어렵습니다.따라서 아이알엠은의료영상데이터 국제표준과비정형 콘텐츠에 대한 품질 측정 항목 및 측정 내용 기준 정의(참고표: 이미지에 대한 품질기준 정의 사례)를 참고하여 수요자가 진행하는 연구 목적에 따라 일관된 데이터 품질 기준을 제공합니다.가공되는 데이터의 품질 제고를 위해 데이터관리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시스템의 오류 또는 작업 인력의실수 등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에러를 최소화하고 이를 보완하는 지속적인 작업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의 품질을 유지합니다.가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솔루션에서 오류가 발생하면개발인력을 즉각 투입하여 단시간 내 원인 파악 및 문제 해결을 함으로써 서비스 일정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이미지에 대한 품질기준 정의 사례,데이터 품질진단 절차 및 기법]주특성정의부특성상세 내용기능성(Functionality)명시된 요구와 내재된 요구를 만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정도적절성목적에 대한 내용의 부합여부, 운용 상의 적절성(사이즈, 포맷, 해상도, 압축율 등), 저장방법 등정확성규격에 따른 구현의 정확성기능순응성구축/품질 표준에 대한 준수여부(명명 규칙, 기준값 준수 등)신뢰성(Reliability)규정된 신뢰수준을 유지하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도성숙성기준 환경(모니터, 컴퓨터 최소 사양)에서 결함발생 정도신뢰순응성신뢰성 관련한 표준의 준수여부사용성(Usability)사용자에 의해 이해되고, 선호될 수 있게 하는 정도이해성이미지 인식 만족 정도친밀성사용자에게 친숙하고 사용이 용이한 포맷 사용여부사용순응성사용성 관련 표준 준수여부효율성(Efficiency)사용되는 자원의 양에 따라 요구된 성능을 제공하는 정도시간효율성Loading Time의 적절성자원효율성기준 환경(모니터, 컴퓨터 최소 사양)에서 결함발생 정도효율순응성효율성과 관련된 표준의 준수여부이식성
  • 유지보수 전략 : ◎ 고객대응수요자별 서로 다른 요구사항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 단계를 나눠, 1차로 수요자가 직접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2차로 세부 상담 및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적절한 서비스를 추천하거나 맞춤형 서비스를 제안드립니다.수요자 요구사항 분석에 따른 예상일정을 미리 산출하고 데이터 가공을 위한 사전 작업 및 추가개발 필요사항 등을 파악하여 내부 개발인력 및 가공인력의 일정을 조정해 다수의 서비스 요청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응합니다.◎ 고객관리 및 유지보수신규 고객의 경우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 후 현장 방문 또는 온라인 상담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획안을 마련하고 수요자와의 논의를 통해 가장 적합한 결과물을 도출하는 최적의 방안을 제안드립니다.서비스 수행 중에는 가급적 비대면으로 관리하며 필요시 원격접속을 이용해 수요자의에게 필요한 조치를 제공드립니다.수요자의 작업환경에 따른 제약(예.
    의료기관의 경우, 내부망과 외부망을 분리해 운영하여 외부에서의 접근이 불가한 사례가 발생할 수 있음)으로 인해 원격관리가 불가한 경우, 직접 수요자를 방문하여 필요한 조치를 제공드리며 이에 따른 출장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서비스 기간 종료 이후 가공서비스에 따른 결과물에 대하여 수요자가 추가적인 가공 또는 수정이 필요하다고 요청할 경우과도한 추가개발, 인력 투입, 사용비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서비스를 지원합니다.서비스 기간 종료 이후에도 지속적인 연구 수행을 위하여 가공서비스 또는 연구지원 플랫폼의 이용이 필요한 경우, 수요자는 별도 협의 및 서비스 계약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정보추출또는조합,태깅또는라벨링,기타
  • 실적 :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가.
    기업 소개㈜아이알엠은 2013년도에 설립되어 의료데이터의 통합과 교류를 위한 솔루션을 개발, 서비스하고 있는 기업으로 이를 활용한 다양한 국내외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습니다.자체 개발한 클라우드 플랫폼(IRM Health Engine)은 국제의료표준(DICOM, HL7, IHE) 및 ICT 국제표준 (W3C, ISO)을 준수하여 의료데이터를 관리하며 이를 토대로 통합 의료서비스 플랫폼(EDP), 다기관 의료영상 연구 플랫폼 서비스(BEST Image), 인공지능 의료영상 판독 솔루션과 연계한 클라우드 PACS 및 원격판독 시스템(w
    -Teresa) 등 다양한 의료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개발, 서비스하고 있으며 국내 의료영상데이터 통합·교류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라.
    사업 영역◎ 의료데이터 통합 & 교류국내 대학병원과 협력하여 다양하고 방대한 의료데이터를 통합 관리·운용할 수 있는 의료데이터 통합서비스플랫폼(EDP: Enterprise Data Platform) 서비스하고 있으며,보건복지부 주관 국가 진료정보교류시스템 구축사업에서 의료기관 간 영상데이터 교류를 위한 의료영상데이터 저장소 구축 및 영상연계모듈(HIMECOM) 개발과 확산, 유지관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의료영상데이터 연구지원의료영상을 판독할 수 있는PACS와 연구용 서식 작성 및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는e
    -CRF를 통합한 형태의 의료연구용 플랫폼을 서비스하여 연구에 필요한 의료영상데이터 구축을 지원합니다.의료연구용 플랫폼은 다기관 의료영상 연구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또는 평가를 위한 데이터셋 구축 연구에 활용가능합니다.◎ 의료데이터 연계의료영상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개발 및 서비스해 본 경험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솔루션을 연계한 원격판독 시스템 구축을 지원가능합니다.
  • 활용 사례 : ◎ AI개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구분내용요구사항인공지능 기반 진단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 및 다기관 데이터베이스 구축 플랫폼 등 인프라 지원가공 유형전처리,품질,정보추출 또는 조합,다기관 데이터베이스 구축 플랫폼 지원요구사항○정보추출 및 통합(7개 병원의 의료영상)
    -기관별로 다른 형태의PACS에 저장되어 있는 의료영상의 추출 및 통합○의료영상 전처리(비식별화, DICOMize)
    -전체 연구용 의료영상에 대한 비식별화(DICOM표준)
    -원본 영상 및 레이블링 결과 데이터의DICOMize○품질(표준화 및 유효성 검증)
    -엑셀로 저장된 영상 별 판독 데이터의 다기관 통합을 위한 표준화 및 유효성 검증○다기관 데이터베이스 구축 플랫폼
    -다기관 연구위한 웹기반 의료영상 뷰어 등 인프라 제공가공방법○7개 병원의 의료영상의 추출 및 통합
    -각기 다른 형태인 기관별PACS로부터BEST Image(다기관DB구축 플랫폼)으로 연동하여 의료영상 데이터를 추출 및 통합○전체 연구용 의료영상에 대한 비식별화(DICOM표준)
    -확보된 의료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환자 개인정보의 보호를 위해‘snupi’를 이용해 비식별화(익명화)진행○원본 영상 및 레이블링 결과 데이터의DICOMize
    -원본영상과 레이블링 영상에 대해 유형별로DICOMize진행
    – JSON형태의 어노테이션,레이블링 데이터를 원본DICOM영상에 포함시키는 전처리 수행○엑셀형태 판독 데이터의 표준화 및 유효성 검증
    -다기관에서 작성된 판독데이터의XML변환
    – ‘Formfeeds’를 이용한 판독 데이터의 표준화 및 유효성 검증○다기관 연구위한 웹기반 의료영상 뷰어 등 인프라 제공
    – ‘BEST Image’를 활용한 다기관 의료영상 데이터 연구 지원
    -웹 기반DICOM뷰어 제공
    – e
    -CRF데이터 연동 및 조회 기능 제공

주식회사엑스퀀트 소개

  • 주식회사엑스퀀트은 2019-09-06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강남구 역삼로 169 (명우빌딩) 6층
  • 주요 서비스 : 데이터 기반으로 고객의 원하는 ESG 대체 데이터와 AI 분석 서비스 및 고객이 원하는 국제표준에 따른 ESG대체 데이터를 제공합니다.ESG 공시는 준비하거나 ESG 관리가 필요한 기업에게 해당 기업뿐만 아니라 글로벌 동종 업계의 트렌드 및 경쟁자의 ESG관련 활동의 데이터를 제공하여 전략 및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또한 데이터 기반으로 기업에게 실시간으로 ESG 관련 기회 또는 위험을 분류, 분석해주는 AI기반 분석 툴도 함께 제공합니다.
  • 보유 솔루션 : 주식회사 엑스퀀트는 지난 2년간 ESG관련 양질의 영어 및 한글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어, 한글 ESG 특화 언어모델인 ESG
    -Analytix을 개발하였으며 비정형 데이터 기반 ESGTech기업으로서 ESG 대체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관련 분석시스템을 제공합니다.
  • 품질 확보 전략 : 인공지능의 특성상 새로운 양질의 데이터가 나올 때만 지속적인 학습과 테스팅으로 서비스의 품질을 높입니다.
    서비스의 품질 확보를 위해, 품질 검수 및 데이터 정합성 해석의 역량을 가진 전담인력을 통해, 품질관리 프로세스를 정립합니다.
    품질 검수는 수요기업이 진행할 수 있지만, 수요기업의 품질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타 데이터 회사(대외 컨설팅)에게 본 기업이 수행한 프로젝트 최종 작업물의 시험성적서와 같은 품질 검수를 진행하여, 수요기업에게 투명하게 공개합니다.당사는 3년 전부터 Tunisia에 AI R&D 센터를 설립하여 최신 자연어처리 모델기반 ESG언어모델을 개발하였으며, 2년 전부터 한글 언어모델을 개발하였습니다.2021년에는 SBA서울R&D지원센터로부터 당사의 “비정형 빅데이터를 활용한 글로벌 ESG평가모델 개발”을 핀테크 기술사업화 지원 사업 선정받아서 ESG특화 언어모델 개발 및 서비스 개발을 완료하였습니다
  • 유지보수 전략 : 수요기업과 KPI를 미리 정하고, 결과를 샘플링하여 서비스의 성과품질을 KPI에 도달할 때까지 서비스와 유지보수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전담 인력 배치를 통해, 고객 관리 및 응대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코딩,시각화,정보추출또는조합,태깅또는라벨링,분석
  • 실적 : 당사는 2022년 6월~11월까지 진행된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의 가공부문 공급기업으로 참여하여 수요기업인 나이스피앤아이와 “AI기반 ESG그린워싱 (Greenwashing)탐지 솔루션 개발” 협약을 체결하였고 글로벌 기업들의 ESG, CSR리포트를 수집한후 자연어 처리를 이용하여 해당 카테고리별 ESG달성 목표를 파악 및 이를 기반으로 목표 달성여부를 파악하여 기업들의 그린워싱 여부를 검출하는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습니다.아래와 같이 ESG 대체 데이터 공급과 분석 툴 서비스 Proof Of Concept진행 및 준비 중입니다.
    1) NDA(Non
    -Disclosure Agreements) 조건으로 싱가포르 은행과 홍콩기업과 미국기업으로 대상으로 POC 중입니다.
    2) 국내 기업 중 P, S 상장사와 POC 논의 중입니다.3) 국내 자산운용사 L사와 서비스 논의 중입니다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주식회사 엑스퀀트는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비정형 빅데이터를 추출, 처리, 분류, 분석하여 고객에게 유의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솔루션 스타트업으로, 다양한 데이터 정보원으로부터 비정형 데이터 (특히 다양한 테이블 포함)을 추출, 처리하여 고객에게 유의미한 정형 데이터로 전환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금융 장외거래 계약서에 특화된 TS
    -Expert서비스를 상용화하여 대형 금융사 위주로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습니다.이러한 비정형 데이터를 추출, 처리의 텍스트 마이닝을 넘어서 단어중심이아니라 의미 중심(sematic)으로 문장을 분류하거나 분석하는 특정영역에 특화된 언어 모델 개발 완료 및 고도화하고 있습니다.특히 최근 각광을 받기 시작한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에 대한 데이터는 대부분 비정형 형태로 존재하고 언어나 시간의 장벽 때문에 적시에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하지만 아직 ESG공시가 의무가 시행전인 한국의 경우(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기업부터 시행 예정)는 한국어 데이터의 부족으로 더욱 ESG관련 평가, 관리가 어려운 상황입니다.이에 주식회사 엑스퀀트는 지난 2년간 ESG관련 양질의 영어 및 한글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어, 한글 ESG 특화 언어모델인 ESG
    -Analytix을 개발하여 비정형 데이터 기반 ESGTech기업으로 거듭나 ESG 대체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관련 분석시스템을 제공합니다.
  • 활용 사례 : 당사는 2022년 6월~11월까지 진행된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의 가공부문 공급기업으로 참여하여 수요기업인 나이스피앤아이와 “AI기반 ESG그린워싱 (Greenwashing)탐지 솔루션 개발” 협약을 체결하였고 글로벌 기업들의 ESG, CSR리포트를 수집한후 자연어 처리를 이용하여 해당 카테고리별 ESG달성 목표를 파악 및 이를 기반으로 목표 달성여부를 파악하여 기업들의 그린워싱 여부를 검출하는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습니다.
    수요기업인 나이스 피앤아이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ESG 진단 및 평가관련 신규서비스를 준비중입니다.

(주)엔슬파트너스 소개

  • (주)엔슬파트너스은 2016-05-03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강남구 역삼로 175 (현승빌딩) 6층
  • 주요 서비스 : □ AI 빅데이터 활용 기술 기반 스타트업 데이터 기술 지원 데이터 가공 서비스 제공/컨설팅 플랫폼으로 고객의 데이터 활용을 극대화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 기반의 빅데이터 기술의 창업기업을 발굴하여 데이터 현황 파악에서 가공, 유통까지 고객 비즈니스의가치 제고를 위하여 데이터 전문가가 데이터 수집/분석/정재/이행 등의 데이터 가공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수요기업의니즈에 부응하는 데이터 가공 서비스를 제공 데이터 관점의 기술투자 필요 : 사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제고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을 제공하는 AI·빅데이터 기술 기반 스타트업을 초기에 발굴하고, 데이터 가공 서비스 및 데이터활용 전략 컨설팅을 제공
    □ 추진전략 빅데이터 기반 스타트업과 함께 기술제품 개발 로드맵, 제품화 및 기술 자산화 그리고 기술과 제품의 사업화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초기 기술제품의 Validation부터 인수 후보자 발굴 및 사전 마케팅까지 각 글로벌 스타트업으로 성공할 수 있도록 데이터 가공서비스의 적극 지원 국내 시장 여건 변화와 빅데이터 기술 발전 트렌드를 활용하여 데이터 가공 서비스를 제공하며, M&A 우선 전략으로 초기 투자자의 투자
    -회수
    -재투자 주기를 단축하고 우수 R&D 인력의 연쇄 창업이 가능한 생태계 구축 기업들의 사업 확장성 강화를 위해 데이터관점의 기술투자
  • 보유 솔루션 :
  • 품질 확보 전략 : 가.
    수요기업의 요구사항과 데이터의 구조 및 값에 대한 기술분석을 통한 데이터 품질관리
    – 데이터 구축 시 데이터 표준의 적용 및 점검, 데이터 구조의 일관성 확보, 데이터 관리 산출물의 품질확보 등의 활동 수행 나.
    품질 지표와 업무 규칙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품질검사 기준을 마련해 실제 데이터를 진단하고 결과를 분석 및 수요기업과 협의
    – 공공기관의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지침·공공데이터 관리지침·공공데이터 공통표준용어(행정안전부 고시) 및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매뉴얼(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18.01.) 등 품질관리 기준에 따라 자체적으로 품질검사를 수행
    – 품질검사 결과 오류 데이터에 대한 개선 활동을 통해 품질확보
  • 유지보수 전략 : 구분내용유지보수 대상ㅇ 공급한 데이터의 모든 구성 데이터 요소를 대상으로 지원한다무상하자보수 기간ㅇ 사업완료 후 12개월간 지원한다.유지보수내용하자보수ㅇ 검수 완료 후 12개월 이내에 발생하는 결과 데이터의 결함에 대한 유지보수ㅇ 데이터 납품 후 데이터 연관 장애발생 시 온·오프라인 지원품질개선ㅇ 결과데이터 자체의 문제점으로 인한 수정/보완, 목적물의 수정ㅇ 수요기업이 데이터 운용 중 장애 발생 시 데이터 재요청을 요구할 경우 무상으로 제공하여 업무 차질 최소화, 단 데이터 결함 발생 시ㅇ 데이터 정상운영을 위한 데이터 기술지원환경적응ㅇ 신규 개방 데이터 운용 개선/확장에 따른 변동사항 시ㅇ 신규운영체제 및 개방 데이터 프로그램 추가 설치에 따른 변동사항 시유지보수범위예방점검ㅇ 데이터 유지 보수에 대한 교육, 기술지원 실시 (담당자 변경 시)ㅇ 예방정비 점검 활동 시, 정기점검 실시 ㅇ 데이터 무상 유지보수 기간 중 연 2회 정기적 예방점검 진행 무상하자보수ㅇ 공급한 데이터에 하자가 있는 경우는 무상 하자보수를 원칙으로 함유상유지보수ㅇ 고객의 실수 또는 천재지변에 의한 장애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아니한다.ㅇ 무상 하자보수 기간 중 데이터의 기존 시스템을 변경하는 경우, 상호 협의 하여 데이터를 유지·보수를 제공함을 원칙으로 한다.ㅇ 유지보수 인력 이외의 인력이 수행한 데이터 개조, 첨가 및 조정 등으로 전달된 데이터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 경우에는 유상 처리(처리 금액의 경우 데이터의 범위에 따라 차등)한다.ㅇ 하자보수 기간 중 새로운 서비스 혹은 새로운 운영환경으로 이식하는 경우 데이터 및 기술지원은 유상 제공(처리 금액의 경우 데이터의 범위에 따라 차등)함을 원칙으로 한다.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정보추출또는조합
  • 실적 : 2018.03 행안부, NIA 공공데이터 활용 협업프로젝트 협의체 민간기관 지정 2018.03 행안부, NIA 범정부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협업기관 참여 2019.01 중국 하드웨어 액셀러레이터 ‘대공방大公坊’ 한국 독점 계약 2019.01 KTB네트워크,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패스파인더H 투자협약 2019.04 중소벤처기업부, 창업도약 패키지 지원사업 주관기관 재협약 2019.10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데이터 기반 시제품 제작 개발 용역 2019.12 19년 공공데이터 활용 협업프로젝트 컨설팅 10팀 수행(NIA) 2020.04 해외 판로개척 데이터 컨설팅 용역 2020.05 한양대학교, 스타트업 시제품제작 개발지원 프로그램 용역 2020.07 창업진흥원, 2020년 예비창업패키지 심화교육 투자부문 주관기관 2020.07 콘텐츠진흥원, 뉴콘텐츠 AI데이터 컨설팅 프로그램 운영관리 위탁용역 2020.10 건국대학교 KU액셀러레이팅 AI데이터 컨설팅프로그램 운영 용역 2020.11 ENSL Tech Lab 2기 모집(엔슬투자 배치 프로그램) 2020.12 20년 공공데이터 활용 협업프로젝트 컨설팅 10팀 수행(NIA) 2021.03 21년 데이터바우처지원사업 공급기업 선정, 1개 기업 공급(K
    -DATA) 2021.07 21년 공공데이터 활용 협업프로젝트 컨설팅 상반기 10팀 수행(NIA) 2021.11 21년 공공데이터 활용 협업프로젝트 컨설팅 하반기 10팀 수행(NIA) 2021.10 광진경제허브 데이터센터 운영기관 선정 2022.03 22년 데이터바우처지원사업 공급기업 선정, 데이터가공(AI) 1개사 수행 2022.09 서울산업진흥원, 서울창업허브 신생산업 특화센터 업무협약 2022.10 행안부, NIA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기업 지원 협업프로젝트 참여기관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 데이터 기반의 우수 스타트업에 데이터가공 서비스를 제공하여 데이터기반 성장 동력 확충 창업기업이 보유한 서비스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업의 성장에 맞는 데이터 가공 서비스 제공 데이터를 활용한 우수 스타트업을 발굴하여 ‘액셀러레이팅
    -금융지원
    -성장지원’의 단계적 지원을 통해 본격 성장궤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육성 데이터바우처지원사업을 통한 수요기업 보유의 데이터 정제/가공/표준화/융합의 실무와 함께 활용 전략 컨설팅 및 데이터바우처지원 사업 종료 후 신용보증기금과 제안사가 공동으로 발굴한 유망 스타트업에 대해 액셀러레이팅 및 금융비금융지원 복합 제공
  • 활용 사례 : □ 데이터 기업 발굴과 투자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기업 발굴과 액셀러레이팅
    – 매년 2회 정기 모집을 통한 데이터기업 공개 선발
    – 선발후 직접 투자와 액셀러레이팅 진행후 후속투자까지 진행 AI·빅데이터 우수기업 대상 자체 액셀러레이션 프로그램 운영
    – 제안사 투자유치 희망자에게 추가적인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제공
    – 멘토링, 기술사업화 지원, 제품화 지원센터 활용, IP진단과 포트폴리오 구축
    – 투자대상 기업들의 최종적인 BM·투자유치 역량을 진단 및 설계 후 직접투자
    □ AI 빅데이터 활용 기술 기반 스타트업 데이터 기술 지원 데이터 가공 서비스 제공/컨설팅 플랫폼으로 고객의 데이터 활용을 극대화 :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 기반의 빅데이터 기술의 창업기업을 발굴하여 데이터 현황 파악에서 가공, 유통까지 고객 비즈니스의 가치 제고를 위하여 데이터 전문가가 데이터 수집/ 분석/정재/이행 등의 데이터 가공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수요기업의 니즈에 부응하는 데이터 가공 서비스를 제공 데이터 관점의 기술투자 필요 : 사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제고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을 제공하는 AI·빅데이터 기술 기반 스타트업을 초기에 발굴하고, 데이터 가공 서비스 및 데이터활용 전략 컨설팅을 제공

데이터바우처 사업관리 가공기업 정보

데이터바우처 사업관리 가공기업 정보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바우처 사업을 통해 지정된 공급기업 중 데이터 가공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데이터는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정보를 포괄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수요기업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가공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활용의 범위를 넓히고, 기업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데이터가 보유한 컬럼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한글명(문자형) : 해당 기업의 한글 이름
설립일자(날짜형) : 기업이 설립된 날짜
기본주소(문자형) : 기업의 본사 주소
상세주소(문자형) : 기업의 주소에 대한 추가 정보
주요서비스 상세정보(문자형) : 데이터 가공기업이 제공하는 구체적인 서비스 내용
보유솔루션(문자형) : 기업이 보유한 해결책 및 시스템에 관한 상세 정보
품질확보전략(문자형) : 데이터 품질 확보를 위한 기업의 전략
유지보수전략(문자형) : 데이터 가공 서비스 후속 지원 계획
카테고리구분(문자형) : 제공하는 데이터 가공 서비스의 카테고리 분류
등록일(날짜형) : 데이터가 등록된 날짜
실적(문자형) : 기업의 성과와 실적
기업개요 및 핵심역량(문자형) : 기업의 전반적인 설명과 주요 전문성
활용사례(문자형) : 데이터 및 서비스를 활용한 실제 사례
링크(URL) : 데이터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접근 링크

파일 다운받기

주요서비스 상세정보(요약), 보유솔루션(요약), 품질확보전략(요약), 유지보수(후속지원), 전략(요약), 실적(요약) 등의 일부 데이터 값은 데이터 미집계로 인해 공란이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