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 1편 데이터바우처 사업관리 가공기업 정보

서울 송파구 데이터바우처 사업관리 가공기업

서울 송파구 에는 주식회사 노버스메이, 주식회사 맘이랜서, 주식회사 테스트웍스 외 22개의 가공기업이 있습니다.

엘렉시 소개

  • 엘렉시은 2016-03-15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송파구 송파대로 111 (파크하비오) 205동 712호
  • 주요 서비스 : AI 데이터가공 프로세스1.
    계획 수립가공데이터 활용의 목적 확인품질 수준 검토가공업무 제안업무요건 확정2.
    데이터 준비 및 확보샘플데이터 분석필요 데이터 정의보유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데이터 수집, 저장3.
    가공 업무 수행데이터 전처리데이터 시각화알고리즘 적용 및 모델링모델 평가품질 검토 및 피드백4.
    결과물 납품최종 가공 데이터 납품가공 서비스 제공 항목업무구분업무 내용참여인력 구분분석 및 설계고객의 문제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기반으로 가공 데이터의 수량과 종류 파악필요한 경우 데이터 추가 수집 계획 수립문제 해결을 위한 최적의 모델링 방법 설계데이터를 이용한 모델링(학습) 및 검증방법 설계모델링에 필요한 데이터 전처리 방법 설계모델링 결과 분석과 문제 해결을 위한 시각화 설계컨설턴트, 수석, 관리전처리 코딩데이터 모델링 기법에 따른 전처리 모듈 개발정규화, 워드 임베딩, One
    -Hot 인코딩 등 다양한 수치화 기법 적용수석, 선임, 초급전처리/라벨링/검수(품질)수집 데이터에 대한 Labeling, Tagging 검증 수행책임, 초급.
    관리데이터 모델링 코딩데이터 모델링 기법 구현사이킷런(SciKit
    -Learn), 파이토치(PyTorch) 등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활용수석, 선임, 초급데이터 모델링 프로세스데이터를 이용한 모델링(학습)과 검증 실행컨설턴트, 수석, 초급시각화 코딩HTML5 브라우저 기반 시각화 모듈 구현지도, 그래프, 차트 등을 이용한 분석 대시보드 개발수석, 책임, 선임, 초급시각화 및 모델링 결과분석시각화 이용해 모델링 결과 분석문제 해결 결과 제시 및 BI 도출컨설턴트, 책임, 초급, 관리
  • 보유 솔루션 : 1.
    보유솔루션[Philo
    -AD/G딥러닝 기반 이상패턴감지 솔루션/서비스(AIaaS/SaaS)]딥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시계열 데이터에서 발생하는 이상패턴을 실시간으로 감지/분석하여 알려주는 솔루션 (네트/문서 보안, FDS, 고장 예지 진단, 서비스 모니터링 외 적용 가능)[Philo
    -V딥러닝 기반 동영상 분석 솔루션]객체 인식, 상황감지 및 모션 인식 솔루션으로 CCTV 영상데이터에서 상황 정보추론, 영상처리, 객체/동작/이상행동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솔루션 (의료데이터 이상 부위추출, CCTV 내 이상행동감지, 맞춤형 동영상 분석/편집 외 적용 가능) [Philo
    -UB딥러닝 기반 사용자 행위분석 솔루션Momentor서비스]PC 사용자의 시스템 조작 시 키보드/마우스 이벤트를 분석하여 전체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의 생산성을 향상해주는 솔루션/서비스 (스마트공장 공정분석, 사내보안, 인사관리 외 적용 가능)[이 2.
    인적자원C
    -레벨: 석·박사급 최소 20년 이상의 IT/SW 개발 분야 전문가로 구성 3명부설 연구소 Embedded Intelligence Lab 인력/ 개발 18명 (석·박사5, 학사 11, 기타
    2)영업/마케팅 4명경영지원 3명구분담당자명직급최종학위전공상세업무R&D서장원CEO/CTO박사전산학엘렉시 사업/개발총괄조근호이사학사전산학이상패턴감지 SW 개발총괄박덕준상무석사전자공학영상분석 SW 개발총괄유지연수석석사정보보안학모멘토 SW 개발총괄신재호선임석사소프트웨어 설계학음성 SW 설계 분석, 이상패턴 분석이태형선임학사컴퓨터과학이상 패턴 분석 SW 개발정수현선임학사컴퓨터공학이상 패턴 분석 SW 개발이상훈선임학사컴퓨터공학이상 패턴 분석 SW 개발한주환전임산업기능소프트웨어개발모멘토 SW/서비스개발정미소선임학사UI/UX 디자인UI/UX 디자인 이예원전임학사 컴퓨터공학영상분석/패턴 분석 SW 개발하성민전임학사 IT 경영패턴 분석/모멘토 SW/서비스개발김다해전임학사정보통계패턴 분석/분류 SW 개발양예지전임학사디자인학UI/UX 디자인이
  • 품질 확보 전략 : 타사 대비 간소화된 데이터 시스템으로 데이터 오염 및 유실 예방
    – 데이터 수집 시 레이블링 작업이 필요 없기 때문에 복잡한 데이터 구조로 인한 시스템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데이터의 오염 및 유실 예방 가공서비스의 관리
    -개발
    -품질 확보체계
    – 서비스 제안에서 부터 개발 완료 시점까지 단계별 체계적인 계획 수립과 관리를 통한 고객 요구 품질 조건에 맞는 최적화된 서비스 제공관리제안/계약 ▶ 착수/계획 ▶ 실행/통제 ▶ 종료/전환개발제안/수립 ▶ 개발 준비 ▶ 분석 ⇔ 설계 ⇔ 구현 ⇔ 시험 ▶ 종료/전환품질활동QMS 준비 ▶ 품질관리, 계획수립 ▶ 품질관리 활동 전개 ▶ QMS 개선산출물품질방침품질목표(제안)QMS(적용) 등품질목표품질표준품질지표품질관리계획서품질체크리스트품질계획 보완 및 구체화품질평가 및 부적합 보고서 품질요구사항 달성및 표준 준수 보고서품질지표검토 보고서QMS 개선 이슈도구기법품질 시스템전사 품질조직조직 프로세스 자산 비용/효과분석양식/템플릿체크리스트벤치마킹품질비용 검토 홍보/교육 훈련 등 품질마인드 제고품질평가 및 부적합 보고서 결함 및 시정조치 보고서문제 및 예방조치 보고서오류 및 변경요청서품질지표분석 보고서 등등품질 시스템전사 품질조직프로세스 개선 기법
  • 유지보수 전략 : 안정적인 유지보수 체계고급 인력보유 및 전담 지정H/W(하드웨어),S/W(소프트웨어) 엔지니어보안 및 WEB, DB엔지니어지속적인 교육 투자로 인력의 고급화 유지전담 엔지니어 지정서비스의 질 개선원콜(One
    -call) 서비스신속한 문제해결 및 창구 일원화장애 발생 시 즉시 원격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해 전담 엔지니어의 시스템 진단 실시원격 지원이 불가능한 심각한 장애 발생 시 6시간 이내 현장방문, 연중무휴 국내사업장 지원고객중심 서비스전담팀, 전담 인원으로 업무의 전문성 유지납품 1년이내 무상보증, 무상 업그레이드 지원장애원인 분석 후 DB관리고객 맞춤형 밀착 서비스 제공고객 요구사항 및 장애 분석 후 고객지원 마스터플랜 수립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코딩,시각화,정보추출또는조합,태깅또는라벨링,분석
  • 실적 :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19, 20 초연결 지능화 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中 AI 분야 혁신기업 연속 선정다수의 국가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등 기술 개발 능력 및 사업화 가능성을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음.
    * 최근 3개년 정부R&D과제 현황 (약 25억 원)년도주관사내용금액2022정보통신산업진흥원컴퓨터 비전 기반 AI 출입국심사관리 솔루션 개발4억 원2022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3D 사람 간 상호작용 데이터1억 원2022~한국콘텐츠진흥원숏폼(Short
    -Form) 콘텐츠 자동 편집을 위한 AI 멀티모달 내용검색 솔루션 기술개발2억 원2021
    -2022정보통신기획평가원전기차 스마트공장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형 용접 불량 자동 검출 시스템 개발4.12억 원2021한국인터넷진흥원시계열 군집 AI 기반 제로 트러스트 고신뢰 네트워크 보안 플랫폼 개발1.5억 원2020
    -2021한국정보화사회진흥원고해상도 Lightfield 이미지 AI 데이터구축1.5억 원2020
    -2021정보통신산업진흥원AI 인식기반 차세대 공항 출입국 관리 시스템 개발 및 실증5.1억 원2019한국인터넷진흥원고도화된 지능형 지속위협 공격을 위한 프로세스 기반의 적응형 서버 보안 솔루션0.75억원2018
    – 2020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료데이터 분석 지능형 SW 기술5.3억원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기업명 (한글) 엘렉시대표자명 (한글) 서 장 원 (영문) John Jangwon Suh (영문) Ellexi대표자 연락처 (이메일) John.suh@ellexi.com (휴대전화) 010
    -2474
    -**** 기업 유형 스타트업■중소기업
    □ 중견기업사업자번호 514
    -81
    -98865홈페이지www.ellexi.com설립일2016년 3월 15일직원수26 명매출액(단위 : 백만원)2020년2021년2022년외부 감사 여부9879001,257
    □여■부영업이익(단위 : 백만원)2019년2020년2022년210
    -13625기업 주요 연혁 가.
    기업체 개요주식회사 엘렉시(Ellexi): Exciting Life Long EXperIence 엘렉시는 데이터 기반 AI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으로서 다수의 솔루션 제공 경험과 지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멀티미디어 분야를 선도하고 있으며, 우수한 기술력으로 고객 중심의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나.
    사업목적 엘렉시만의 정합성 있는 데이터 보유 기술을 가지고, 고객이 원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여, 불확실성의 데이터에서 잠재적인 가치를 발견하여 새로운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
    다.
    주요연혁 2022특허등록 (제10
    -2389094호) 이상 패턴 감지 시스템 및 방법특허청 직무발명보상 우수기업 인증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GS 인증 1등급 획득
    – ‘Philo
    -V 이상행동 감지 솔루션’한국인터넷 진흥원 지능형 CCTV 시험센터 (K
    -ICTC) 인증 정보통신산업진흥원 AI 출입국 심사관리 솔루션 개발 및 검증 (트랙
    1) 참여한국정보화진흥원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구축사업 참여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기술연구개발사업 참여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 데이터가공사업 지정 업체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바우처 사업 지정 업체 2021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2회 SW 산업인의 날 장관 표창 수상전국장애경제인대회 중소벤처기업벤처부 장관상 수상벤처기업협회 2021년도 우수벤처기업
  • 활용 사례 : 활용사례:수면시 체표압력 측정 데이터의 체위분석 및 수면의 질 평가분석을 위한 딥러닝을 통한 이상수면 분석 솔루션 개발1.
    원천 데이터의 분류 : 비정형 데이터의 정형화 및 비정형 데이터 자체분석 동시 진행비정형 데이터의정형화 + 비정형 데이터 그대로의 분석2.
    데이터 표준화 및 라벨링입력 데이터의 측정단위 표준화입력 데이터의 멸실 범위 확정 및 보정입력 데이터의 체위 매핑을 위한 기준점 확보 및 라벨링3.분석체위변경 측정단위 시계열 데이터와 표준영상의 시계열 데이터간의 오차분석원천 데이터의 반복학습을 통한 입력 데이터의 체위 분석 결과의 산출 및 재반복 학습입력 데이터의 체위 분석 결과와 수면의 질 지표 데이터의 상관 및 회귀분석 수행4.
    재학습 및 정확도 오차의 수정및 보완AI(인공지능) 데이터 가공실적기업명데이터유형내용규모나루씨큐리티네트워크 통신 로그데이터머신러닝을 이용한 통신형태 분류약 1억 원위지윅스튜디오사람표정데이터얼굴형태모델 기저벡터 집합추정약 8천만 원내프터시계열 생체정보(심박데이터)딥러닝기반 생체신호 모니터링약 1억 원메타바이오메드수주, 생산, 출하 데이터딥러닝 기반 출고량 예측약 9천만 원피플벤처스성격유형 세부 분류 및 질문리스트딥러닝기반 상담내용 분석 및 시각화약 8천만 원솔박스시스템 매트릭 및 로그데이터딥러닝 기반 CDN 서비스 장애예측 및 Auto
    -Scaling 예측약 1억 원2DIGIT경제뉴스 기사 (Text 비정형 데이터)KOSPI200 종목주가데이터주식 종목별 키워드 라이프사이클 및 모멘텀 예측약 1억 원디엠비에이치Fitbit을 통해 수집된 심박데이터딥러닝 기반 수면 모니터링약 1억 원뉴로라인즈MSDS 전자파일 텍스트 및 이미지 파일MSDS 표준사항 매핑약 1억 원어썸레이미세먼지 저감장치 공기질 데이터 (온/습도, CO2, PM1, PM2.5 등)AI 모델링을 통한 살균 및 공기정화 장치의 최적구동조건 도출약 1.5억 원지행아이티로그데이터 딥러닝을 이용한 비정상 패턴 감지기능 개발약 1억 원어바웃클래식MIDI 데이터음악과 영상인식

(주)리드솔루션 소개

  • (주)리드솔루션은 2013-05-24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송파구 송파대로 201 B동 1222호
  • 주요 서비스 : > 설계 표준화 Package_가공 서비스 항목 · 데이터 가공은 수요 기업 컨설팅 후, 수요 기업의 Needs를 반영하여 커스터마이징된 설계 표준화 가공을 제공하며, 산출물 제공 후 교육 및 메뉴얼 제공까지를 목적으로 합니다.
    1) 설계 표준 데이터 구축
    -규칙 없이 상이한 설계 정보를 취합하여, 하나의 표준화 된 기준으로 재 정립하며 규격화 된 설계표준을 구축 후, 모든 설계자에게 적용 함으로써 동일한 설계 환경에서 동일한 규칙으로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합니다.
    2) 설계 데이터 검증
    -설계 후, 시제품을 제작하기 전까지 설계 오류 및 제품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어려우며 시제품의제작 후 오류를 수정하게 되면 생산 비용 의 소모가 큽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계된 3D 데이터를 활용한 해석을 진행하여 제품의 신뢰성 확보 및 검증 데이터를 합니다.
    이러 한 3D 데이터 재활용을 통하여 개발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해석 : 구조 및 유동 해석으로 크게 구분되며 설계 데이터의 구조적 안정성 및 유체의 영향을검증할 수 있습니다.
    3) 설계 데이터 랜더링
    -제품의 홍보, 매뉴얼 제작, 영상 제작 등을 하기 위하여 시제품을 활용하여 사진 및 영상 촬영을 하는 제조업체가 많습니다.
    하지만 3D 설 계 데이터를 이용한 실사 이미지를 제작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 및 사전 홍보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설계 라이브러리 구축
    – 제조업체는 동일 제품이지만 사이즈를 다양하게 생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부품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게 되면 부품의 검색 과 적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설계 기간과 개발 비용이 증가합니다.
    이를 개선 및 방지하기 위하여 설계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게 되 면, 조립 부품을 모델링 할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설계 자동화 구축
    – 정해진 규격내에서 옵션이 변경되거나 치수 등 단순한 스펙이 변경되어 설계 변경이 자주
  • 보유 솔루션 : 1.
    Autodesk 및 PTC
    – 오토데스크 및 PTC 전 제품(Annual Subscription 등)
    – 주요 제품 : AutoCAD, AutoCAD LT, Inventor, Maya, 3Ds Max Creo Design Essentials, Creo Design Advanced, Mathcad, AR Vuforia,Windchill 외
  • 품질 확보 전략 : > 설계 Process 정리로 수요업체 업무의 확실한 학습 약속 · 수요 업체의 업무 Process의 정확하고 확실한 인터뷰 및 학습으로 수요 업체의 업무 개선을 위해 최선의노력을 약속 · 설계 업무의 불필요한 업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수요 업체에 맞는 설계 자동화 적극 지원 · 정기적인 Trouble shooter확인 및 주기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가공 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 맞춤 가공 서비스 별 정확한 산출물 제공 · 수요 업체의 정확한 요구 기능에 대한 데이타 가공 서비스의 각 서비스 별 산출물 제공, 산출물 활용 및 학습에 필요한 메뉴얼 제공, 교육 제공 · 해당 가공 서비스의 사용 학습 동영상 제공
  • 유지보수 전략 : > Process 정리 및 가공 데이타의 종류 별 유지보수 기간 협의 · 수요 업체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기간 및 종류에 맞춰 무상 유지/보수 진행(6개월) · 유지/보수 기간 중 변경되어야 하는 데이터 가공 서비스 항목에 대한 무상 변경 서비스 (기존 협의 된 데이터 가공 서비스 취지에 적합한 기준이어야 함)> 사후 관리 서비스 · 유지 보수 기간 완료 후 Happy Call 진행, 추가 서비스가 필요한 항목에 대한 조사 및 협의 · 주기적인 영업 활동으로 차기 가공 서비스 요구 확인 및 업무 진행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코딩,시각화,정보추출또는조합,기타
  • 실적 : > 세메스 기술용역 이행 실적 · 사업 명 : 정보시스템 개발 구축 사업 · 사업 내용 : 1.
    EPP 2차 인증 기능 연동 2.
    서버 설치 / 개발 환경 구성 3.
    Google OTP 2차 인증 개발 · 거래처 명 : 세메스 주식회사 · 계약 기간 : 2022.
    09.
    01 ~ 2022.
    09.
    30 · 사업 금액 : 36,600,000원 (VAT별도)> 세메스 기술 용역 이행 실적 · 사업 명 : VPS 구축 및 SW 공급 및 개발 · 사업 내용 : 1.
    VPS Master Server(active
    -standby구성)2.
    VPS Client Module 3.
    System 연동(IP관리시스템, 출입관리시스템) · 거래처 명 : 세메스 주식회사 · 계약 기간 : 2021.
    11.
    01 ~ 2022.
    02.
    28 · 사업 금액 : 208,000,000원 (VAT별도)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 리드솔루션 소개 및 주요사업 분야 · 리드솔루션은 2013년 사업을 시작하여 IT솔루션 컨설팅과 범용 소프트웨어 공급 사업을 하고 있으며, 단순 소프트웨어 공급이 아닌 전문성 을겸비한 노하우로 IT 인프라 구축까지 진행하고 있습니다.
    · 일반 기계 제조 시장, 자동화 및 반도체 시장에 다양한 고객사를 기반으로 Solution 공급 및 지원 업무를 진행하고 있으며 기계, 전기도면 분야의 설계 자동화 구축 및 고객사의 요구에 맞춰 설계 표준화 구축 컨설팅을 진행해 왔습니다.
    · 현재까지 일반 제조 현장의 도면 작성 및 해당 도면의 기준 정보가 표준화 되어있지 않아 어려움을겪고 있는 제조 업체가 많고, 해당 업무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있습니다.
    리드솔루션은 다양한 업체에 지원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설계 표준 데이터, 설계 자동화 및 설계 데이터 가공 등의 컨설팅을 하고 있습니다.
  • 활용 사례 : > 표준화 작업 및 설계 자동화, 데이터 가공 서비스 자원 활용 전략 · 리드솔루션 다양한 범용 소프트웨어의 파트너사로서 다양한 SW를 자체적으로 활용 · 수요 기업에서 보유 중인 SW 활용
    – 수요 기업의 표준 데이터 가공 시, 수요 기업 보유 SW활용 기준으로진행하여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활용 가능

(주)미디어 코퍼스 소개

  • (주)미디어 코퍼스은 2013-03-18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송파구 송파대로 201 (송파 테라타워2) A동 1201호
  • 주요 서비스 : 1.
    인공지능 학습용 말뭉치 구축/정제/가공 서비스 Text Normalization, Inverse Text Normalization, Relation, Alias, Phonemes 코퍼스 개발 도메인 특화 언어 데이터 수집 및 언어 처리 플랫폼 보유로 서비스 도메인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서비스 기술 구현 플랫폼 기반의 자동화된 언어 데이터 정제와 숙달된 언어 데이터 구축 전문가의 검증으로 이루어지는 협업 향상된 성능의 인공지능 개발을 위한 언어 학습 데이터 생산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사업 도메인별 특화 인공지능 언어 인식 기술 개발
  • 보유 솔루션 : 1.
    NER 학습용 개체명 텍스트 정제 플랫폼 개체명 인식, 토크나이징 자동화 지원 플랫폼 텍스트 정규화 자동화 모듈, 외국어 감지 한국어 발음열 자동 변환 모듈 NER 학습용 개체명 가공 작업 효율화 지원 2.
    ASR 학습용 개체명 음성 데이터 원샷 구축 솔루션 개체명 음성 데이터 수집 및 검수, 가공 지원 실시간 대규모 음성 데이터 수집 및 검수 지원
  • 품질 확보 전략 : 1.
    언어 데이터 전문성 활용 전략 글로벌 AI 음성 인터페이스 플랫폼 기업에 다년간 학습 데이터 납품 및 상용화 경험 보유 언어 데이터 전문 인력 및 다수의 데이터 수집/가공/검수자를 통해 고품질 언어 데이터 전문 지식 및 노하우 보유 NER 및 ASR 학습 데이터 생산 플랫폼을 통한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고품질 대규모 언어 데이터 생산 2.
    데이터 가공 솔루션 및 SW 활용 전략 2.1.
    NER 학습용 개체명 텍스트 정제 플랫폼 개체명 인식, 토크나이징 자동화 지원 플랫폼 텍스트 정규화 자동화 모듈, 외국어 감지 한국어 발음열 자동 변환 모듈 NER 학습용 개체명 가공 작업 효율화 지원 2.2.
    ASR 학습용 개체명 음성 데이터 원샷 구축 솔루션 개체명 음성 데이터 수집 및 검수, 가공 지원 실시간 대규모 음성 데이터 수집 및 검수 지원 3.
    자원 활용 전략 3.1.
    데이터 바우처 전담 조직 구성 및 운영3.1.1.
    데이터 바우처 PM 공정 관리/위험 관리/자원 관리/일정 관리/보안 관리/산출물 관리 수행 일정 계획/세부 활동 도출/중간목표 수립/자원 배분 개발 장비 확보 및 운영 보고 관리
    – 정기 보고 및 비정기 보고, 단계별 보고 위기 관리 문제 요소 사전 분석 및 대응 전략 수립, 모니터링 납품 관리 착수, 중간, 완료 각 단계별 산출물 납품 하자 보수 계획 수립 및 보증 활동 3.1.2.
    데이터팀 데이터 가공 동향 및 요구 분석 데이터 기획 및 설계 데이터 내 개인정보 비식별화 및 민감 발언 정제 지침, 방법론 수립 / 교육 작업 지침 수립 / 교육 품질 지침 설계 및 매뉴얼 제작 데이터 가공 시행 가공 데이터 교차 검수 3.1.3.
    검증 팀 전 공정의 품질 관리 / 점검 사업 착수 단계의 데이터 품질 목표 및 정책 수립 사업 진행 단계별 데이터 품질 문제 검증 및 대응 사업 완료 단계의 데이터 품질 검증 계획 수립 및
  • 유지보수 전략 : 1.
    수요기업 유지보수(후속 지원) 및 협업체계 전략 1.1.
    하자 보수 계획 및 범위 1.1.1 하자 보수와 유지 보수 실시 과업 종료 후 특정 기간 동안 운영 단계에서 발견되는 오류 및 결함을 수정하여 복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하자 보수”와 “유지 보수”를 구분하여 운영 하자 보수는 말뭉치 오류 수정, 납품 파일 형태 손상 복구, 이전 기술의 오류 수정을 포함 유지 보수는 하자 보증 기간 동안 데이터 수정·보완을 위한 데이터 유지 관리, 보안 관리, 하자 보증 기간 만료와 동시 데이터 폐기를 포함 1.2.
    하자 보증 기간 및 대응 절차 1.2.1.
    안정적 하자 보증 과업 종료 후에도 본 과제 참여 인력 및 전문 인력이 상근, 데이터 구축 업무지속 하자 보수 시에도 전문성을 유지하고 신속하게 대응 1.2.2.
    하자 보수 팀 운영 과업 종료 후 12개월 동안 사업 책임자를 하자 보수 책임자로 하고 공정 부문별 실무 책임자와 실무 담당자 각 1인을 구성원으로 하는 하자 보수 팀 운영 하자 보수 팀은 하자 보증 기간 동안 무상으로 유지 보수 업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하자 발생 시 즉시 공정별 하자 보수 업무 수행 1.2.3.
    하자 대응 절차 하자 발견 및 수요 기업의 하자 보수 요청 즉시 하자 접수 하자 분석을 통한 보수 일정 수요 기업과 협의 공정별 하자 보수 담당자가 수정·보완하여 하자 보수 책임자 검증 후 수요 기업 재납품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정보추출또는조합,태깅또는라벨링,기타
  • 실적 : 1.
    데이터 구축 현황 보유 데이터명확보 경로 및 기간보유 수량활용비고 빅스비 엔진 학습용Corpus 정제삼성전자 과제 수행(2020~현재)· NER 학습용 말뭉치 60만 개 · 월간 신규 개체명 5만 개 구축· 삼성전자 인공지능 대화 플랫폼 NER /ASR 학습용 상용화 한국어 메신저 대화원시 말뭉치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 과제 수행(2019)· 14,591,826 발화 (5천만 어절 이상)· 712,291 대화 · 10대~70대 10,083명 실사용 메신저 대화 데이터 구축· 한국어 실사용자 메신저 발화 패턴 연구용· 한국어 자연어처리 엔진 연구 개발용· 챗봇 연구 개발 및 학습용 · 개인정보 비식별화 처리 완료· 대화 제공자 전원 저작권 이용 동의 완료한국어온라인 대화원시 말뭉치 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 과제 수행(202
    1)· 약 1,800,000발화 (450만 어절 이상)· 150,000 대화 · 10대~70대 3,063명 실사용 온라인 대화 데이터 구축· 한국어 실사용자 메신저 발화 패턴 연구용· 한국어 자연어처리 엔진 연구 개발용· 챗봇 연구 개발 및 학습용 · 개인정보 비식별화 처리 완료· 대화 제공자 전원 저작권 이용 동의 완료치매 문진 대화 학습용 말뭉치한국 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 바우처 사업 공급 기업 업무 수행 (2020)· 인텐트, 개체명 분류 항목별 질의응답 데이터셋 5,100개· 채팅형 AI 대화시스템 학습용 일상 대화 데이터셋 1,000개· 개체명 어휘 700개· 치매 간단 문진 AI 대화 시스템 개발용· 바우처 수요 기업 ‘치매 간단 문진 서비스’ 개발 ASR 학습용 말뭉치삼성전자 과제 수행(2020~현재)· 10대~70대 1,731명 참여· ASR 학습용 560,042 발화 · 3,774 시간 녹음· 삼성전자 인공지능 대화 플랫폼 ASR 학습용 상용화 인공지능 대화 플랫폼 딥러닝용 말뭉치삼성전자 과제 수행(2017~2019)· 370만개 언어 데이터셋· 삼성전자 인공지능 대화 플랫폼 NLP 학습용 상용화 고유명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1.
    업무 경험 삼성전자 빅스비 학습용 텍스트, 이미지, 음향 데이터 구축(2012~現) ASR/NER 성능 향상용 코퍼스 구축(삼성전자, 2012~現) 메신저 대화 말뭉치 구축(국립국어원, 2019) 데이터 바우처 사업 수행(가공 기업, 2020) 온라인 대화 말뭉치 구축(국립국어원, 202
    1) 지식검색 대화 데이터 구축(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
    2) 2.
    보유 인프라 인공지능 NLU 학습용 개체명 말뭉치 설계 및 구축 역량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제공 패널 보유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품질 국제 인증 보유(ISO 900
    1) ISO27001 보안 인증 데이터 구축 업무 지원 및 자동화 도구 개발 역량 3.
    특장점 도메인 및 개체명 데이터 구축 특화 크라우드 소싱 인력 및 자체 보유 데이터 품질 검증 인력으로 고품질 학습용 데이터 구축 특화 머신리더블 데이터, 산업 현장 실수요 데이터 구축 전문성 수요자 요구사항 분석 역량 안정적 사업 관리 4.
    주요 연혁 2013년 2월 회사 설립 2013년 3월 삼성전자 1차 벤더로 등록 2013년 3월 ~ 2016년 2월 S Voice, 음성인식 용 300개 카테고리 DB 구축 2016년 ~ 현재 Bixby 자연어 처리 성능 향상을 위한 말뭉치 연구/개발 2017년 4월 중소벤처기업청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등록 2018년 5월 자본금 증자 (50,000,000원 > 300,000,000원) 2019년 2월 중앙대 인문콘텐츠연구소 인문학 및 융합학문 연구협력협약 2019년 3월 한국문예학술저작권협회 말뭉치 구축 분야 협력협약 2019년 4월 중소기업협회 데이터서비스 직접생산확인증명 인증 2019년 4월 인공지능 말뭉치 구축 및 개발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ISO 9001 2019년 5월 정부 ‘4차 산업혁명 대비 빅데이터 구축’ 메신저 대화 말뭉치 구축 사업 수행 (국립국어원) 2019년 6월 인공지
  • 활용 사례 : 1.
    구축 결과물 활용 분야 및 활용 방안서비스 활용분야서비스 활용 방안비대면보이스 커머스상품 또는 상호명을 음성으로 검색,주문할 때 인식 성능 향상실사용 언어 습관 반영비즈니스 도메인별 분류하여 언어 인식 성능 향상콘텐츠,엔터테인먼트음성 명령을 통한 방송,게임,음악,영화 컨텐츠나 아티스트 검색,콘텐츠 실행할 때 인식 성능 향상

주식회사 포랩 소개

  • 주식회사 포랩은 2019-01-11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송파구 송파대로 201 송파테라타워2 A동 411,412호(문정동)
  • 주요 서비스 : 1.
    스포츠 영상 데이터 가공서비스
    – 동영상 분석 : 스포츠 특히 빠른 구기종목에 대한 경기 및 전술분석 서비스(예, 탁구, 배드민턴, 축구, 골프 등)2.
    AI OCR 이미지 데이터 가공서비스
    – 이미지 분석 : 금융권 특히 OCR을 활용한 오프라인 문서의 DB화 및 분석서비스(예, 보험계약, 대출계약 또는 회사내 각종 계약문서 및 업무문서 등)3.
    텍스트 & DB 데이터 가공서비스
    – 텍스트 분석 : 그룹사 특히 자체 파일관리시스템내 디지털문서의 DB화 및 분석서비스(예, 계약서 및 사내 공통업무 문서 등)
    – DB 분석 : 유통사 특히 온라인 쇼핑몰 또는 배송서비스의 사용자 활동분석 서비스(예, 사용자패턴예측, 상품판매예측, 제품추천 및 제품효용주기예측 등)
  • 보유 솔루션 : 1.
    스포츠 영상 데이터 가공서비스
    – 이미지변환 프로세싱
    – 학습을 통한 오토 라벨링
    – 작고 빠른 오브젝트에 대한 Object Detection
    – Object Detection을 위한 최적의 알고리즘 구현
    – 정확도 향상을 위한 커스텀 데이터셋 학습 프로세스 구축
    – 예측모델 구현2.
    AI OCR 이미지 데이터 가공서비스
    – OCR을 통한 텍스트 인식 및 변환
    – 다양한 폰트, 손글씨 및 외국어에 대한 인식율 상승
    – 인식된 텍스트의 DB화
    – 정확도 향상을 위한 데이터 학습 프로세스 구축3.
    텍스트 & DB 데이터 가공서비스
    – PDF, HWP 등 디지털문서내 내용의 DB화
    – 온톨로지(형태소분석을 통한 의미파악) 고도화
    – 특정 문장패턴 자동 필터링화
    – 디지털 문서의 요약기능
    – 특정 필터링을 통한 디지털 문서 추출 및 정확도 구현
    – DB내 데이터분석을 통한 데이터셋 구성
    – 데이터셋 분석을 통한 다양한 예측 구현
  • 품질 확보 전략 : 1.
    전담조직 구성프로젝트의 품질관리할 수 있는 조직구성(QA / AA / DBA / 헬프센터)2.
    전담인력 채용 및 교육가공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관리 전문인력 보강 및 전문 교육 실시
    – 데이터 품질관리의 전문 고급인력 충원 (석/박사)
    – 현재 온라인 교육을 통한 전문교육 지원3.
    품질관리 솔루션 구축가공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향상과 오류 최소화을 위한 솔루션 구축
    – RPA 솔루션 구축
    – 자동 라벨링 솔루션 구축
    – 데이터 검증 솔루션 구축
    – ML Ops 인프라 구축4.
    공인된 품질인증 획득국내외 표준인증 획득을 위한 꾸준한 지원
    – 한국표준협회을 통한 AI+(에이아이플러스) 인증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를 통한 GS인증5.
    대외 컨설팅 Pool 구축다양한 외부지원 인력확보를 위한 꾸준한 지원
    – 관련 AI업체와의 컨소시엄 및 MOU 체결
    – AI특성화 교육기관과의 업무협약 체결
    – 해당 전문가 초빙을 통한 컨설팅 지원
  • 유지보수 전략 : 기존 고객에게 업셀링o 기 보유한 기존 금융, 대기업 고객을 근간으로 시범 사업 및 업셀링
    – 이러한 기존 고객사의 데이터 분석 활용 계획에 따라 자연스럽게 제품 공급
    – 관련 내정된 빅데이터 관련 프로젝트에서 레퍼런스 추가 확보o 가공기술이 필요한 데이터 보유 업체에 접근
    – 기존 마이데이터 구축 업체 중 자사 가공서비스에 대한 기술개발자들을 유입을 원하는 고객에게 접근차후 확보될 보급 확산 방안
    – 데이터 가공을 통한 성공적인 서비스를 위한 계속적인 완성도 업그레이드
    – 성공적인 서비스 공급 후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통한 수요업체 데이터의 꾸준한 가치 상승 유도
    – 서비스 초기에는 모니터링을 통한 이슈 및 문제점 분석 집중
    – 서비스 안정화 이후에는 연구개발을 통한 기능 및 성능 고도화 추진
    – 자체 솔루션화를 통한 사업화(홍보) 전략 수립교육활동o 교육기관에 전략적 공급 (교육 목적의 일반 사용자에 한해 오픈소스 제공)
    – 온라인 강의 센터 등에 전략적인 가격 (혹은 무상)으로 구축해주어 온라인 학습자들이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변을 확대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코딩,정보추출또는조합,태깅또는라벨링,분석
  • 실적 : Case1.
    한국도로공사 돌발매니저 및 데이터매니저 구축사업구현내용1.
    교통정보 AI데이터 학습매니저 구축2.
    교통 돌발상황 예측을 위한 돌발매니저 구축역할1.1.
    돌발매니저는 스마트 CCTV를 통해 지방도로에서 발생하는 돌발상황을 인공지능으로 추출하고 분석하기 위한 서비스 구축
    -.
    Smart CCTV 영상에서 돌발상황에 대한 검지
    -.
    돌발상황을 비교하여 오검지를 줄이기 위한 데이터 메타정보 수집
    -.
    오검지된 돌발상황에 대한 CCTV 알람관리를 이벤트 메타데이터 수집역할2,2.
    데이터매니저는 돌발매니저에서 발생하는 영상과 이벤트데이터를 추출하여 커스텀데이터 셋으로 학습시켜, CCTV별로 학습강화를 위한 데이터 학습 서비스 구축
    -.
    돌발매니저에서 오검지 또는 비교검지 데이터를 추출
    -.
    추출된 영상중 학습을 위한 데이터셋을 구성
    -.
    데이터셋의 라벨링부터 커스텀 데이터 생성 그리고 데이터 학습까지 전과정의 프로세스 구축Case2.
    골프공 궤적 추적학습 및 예측 서비스 구축사업구현내용1.
    골프공의 궤적을 추적하기 위한 데이터 학습(Object Detection Deep Learning)을 통한 알고리즘 구현2.
    골프공의 궤적 학습데이터를 통한 골프공 궤적 예측서비스 구현역할1.
    골프공 궤적 추적을 위한 웹크롤러를 통해 유튜브 및 인스타그랩의 골프스윙 동영상 정보 수집2.
    OpenCV와 Python을 활용하여 동영상의 이미지 추출3.
    골퍼와 골프공 학습을 위한 라벨링 작업4.
    골프공의 궤적을 학습시키기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딥러닝 작업5.
    골프공의 추적(Object Detection)을 통한 예상 궤적 예측 작업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 2019년1월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의 전문회사로 설립
    – PMS솔루션과 스마트업무지원솔루션,전자문서 시스템과 모바일App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프로젝트 전문 수행 기업으로써 솔루션 및 시스템 사업을 통해SI인프라를 구축
    -데이터혁신 브랜드인 마이데이터랩(MyDataLab)을 통해Big Data생성부터 유통 및 분석까지 전 과정에 대한 솔루션 공급 및 마이데이터 프로젝트 사업 수행
  • 활용 사례 : 1.
    스포츠 영상 데이터 가공서비스
    – 동영상 분석 : 스포츠 특히 빠른 구기종목에 대한 경기 및 전술분석 서비스(예, 탁구, 배드민턴, 축구, 골프 등)2.
    AI OCR 이미지 데이터 가공서비스
    – 이미지 분석 : 금융권 특히 OCR을 활용한 오프라인 문서의 DB화 및 분석서비스(예, 보험계약, 대출계약 또는 회사내 각종 계약문서 및 업무문서 등)3.
    텍스트 & DB 데이터 가공서비스
    – 텍스트 분석 : 그룹사 특히 자체 파일관리시스템내 디지털문서의 DB화 및 분석서비스(예, 계약서 및 사내 공통업무 문서 등)
    – DB 분석 : 유통사 특히 온라인 쇼핑몰 또는 배송서비스의 사용자 활동분석 서비스(예, 사용자패턴예측, 상품판매예측, 제품추천 및 제품효용주기예측 등)

(주)우림엔알 소개

  • (주)우림엔알은 2008-05-02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송파구 오금로 125 유미빌딩 302호
  • 주요 서비스 : 산림 기상정보 가공서비스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기간의 평균기온, 최저기온, 최고기온, 온량지수, 한랭지수, 강우량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지별로 산림 지역의 기상정보를 가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기상정보는 관측소에 대한 측정값을 공개하고 있으며,관측소 외의 지역에 대해 별도의 기상정보 데이터를 일반 기업 또는 학술기관에서 가공이 힘든 상황입니다.특정 지점 또는 필지에 대한 정확한 기상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기간의 평균기온, 최저기온, 최고기온, 온량지수, 한랭지수, 강우량 등의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산림지형 분석 서비스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필지에 대한 지형을 분석하는 서비스입니다.
    분석 항목은 해발고, 경사도, 음영기복도, 향분포도, 가시권 분석 등이 있습니다.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필지에 대한 지형을 분석하는 서비스입니다.
    분석 항목은 해발고, 경사도, 음영기복도, 향분포도, 가시권 분석 등이 있습니다.
    – 경사도는 수치형도를 이용하여 도 또는 퍼센트로 경사 값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산림유역 분석 서비스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필지별로 지표면 위에서 어떻게 물이 흘러갈 것인가를 분석하여 유역을 구분하는 서비스입니다.
    분석항목은 흐름방향도, 누적흐름도, 하천 네트워크가 있습니다.ㅇ 필지별 산림 유역 분석 서비스

    –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필지별로 지표면 위에서 어떻게 물이 흘러갈 것인가를 분석하여 유역을 구분하는 서비스입니다.
    분석항목은 흐름방향도, 누적흐름도, 하천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흐름 방향도는 각 셀에서 주위의 가장 가파른 경사로의 방향을 계산하여 각 흐름방향의 값을 분석합니다.
    산림수종 판독 서비스
    – 항공영상을 활용하여 산림 필지별로 존재하는 수종과 수고를 항공영상을 활용하여 판독하는 서비스입니다.
    다년간 산림수종에 대한 판독을 수행한 전문가가 수행합니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가공서비스 ㅇ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가공서비스
    – 인공지능 개발에 핵심인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
  • 보유 솔루션 : – 조직적 자원 현황 · 사업관리 및 산림자원사업 부문의 모든 직원이 GIS 활용한 데이터 분석 및 DB구축이 가능함구 분계전문분야관리분야사업관리 부문산림자원사업 부문합 계2910145특급기술자5
    -23고급기술자422
    -중급기술자734
    -초급기술자13562 ㅇ 물적 자원
    – 보유 장비는 아래와 같이 보유종 별수 량종 별수 량비고(최근 도입시설 등)Trimble 드론1컴퓨터 장비 외17Trimble 드론(2018년)갤럭시노트외1

    -워크스테이션(2019)서버용PC1

    -노트북(2019년)워크스테이션 2 합 계22
    – 산림정보화분야만을 연구·개발하여 아래와 같이 저작권 보유명 칭등록번호임도경관분석프로그램S
    -2008
    -002763
    -2생물종표본관리프로그램C
    -2013
    -017868제1종 수원함양보호구역 구획 프로그램C
    -2012
    -019404
    -2비탈면 녹화복원 설계 프로그램S
    -2010
    -002907
    -2산림계획지원 프로그램(STRM)S
    -2010
    -002533
    -2산림계획지원 프로그램 가상화 서버용S
    -2013
    -017867물품관리시스템C
    -2012
    -010331
    -2그룹웨어 시스템C
    -2014
    -028687빅데이터 기반 산림재해 상황모니터링 시스템C
    -2017
    -013511토석 통합위험지도구축 프로그램 C
    -2022
    -015694산사태 위럼지 판정을 위한 위험등급 구분 프로그램C
    -2021
    -033897
  • 품질 확보 전략 : ㅇ 품질 확보를 위한 전략 · 데이터 상품 및 서비스 품질확보를 위한 품질보증활동 수립 · 품질 제고를 위한 작업자 교육 및 표준 정립 실시ㅇ 자원 활용 전략 · 보유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 가공 서비스시간 단축
    – 수요기업의 분석서비스 요청 시,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수집 및 기반데이터 제작단계를 선제적으로 수행ㅇ 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한 방안 · 최신의 데이터 확보기온(기상청), 수치표고모델(국가공간정보포털), 임상도(산림청), 최신 항공사진(구글) · 자체개발 모듈을 통한 검수· 필지별 환경분석서비스를 위해 중급이상의 기술자를 투입하여 수요기업 대상 데이터 상담 및 데이터 가공 및 분석 수행
  • 유지보수 전략 : ㅇ 수요기업 후속지원 계획 및 목표 · 필지별 환경분석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 시, 현황보고서 및 데이터 활용 가이드 제공.
    · 플랫폼 구축을 통해 데이터 수요기업 및 수요자가 신규비지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컨설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전문기관 또는 임업 전문가 매칭 서비스 런칭 · 환경분석과 컨설팅 서비스 이력을 통해 최적의 임업경영 품목 개발 ㅇ 사업 지원체계 · 수요 증가에 따른 효율적인 데이터 가공 업무 추진을 위한 역할 분담 및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분석데이터 검토 및 오류 검토 지원 · 데이터 바우처 사업에 가공기업 참여시 외부 수요증가에 따른 대응계획
    – 외부 수요증가에 대비하여 미 투입인력을 교육 훈련하여 투입할 예정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정보추출또는조합,분석
  • 실적 : 유사사업 실적 건수 : 13건총 유사사업 실적 건수 13건, 금액 : 2,755,182천원1피복지도 및 산림수종 AI데이터 구축(2차년도)2021.06~2021.12913,000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산림수종 빅데이터 GIS 구축2피복지도 및 산림수종 AI데이터 구축(1차년도)2020.09~2021.02760,000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산림수종 빅데이터 GIS 구축32021년 소지역 통계 공간 DB구축2021.06~2021.1160,000한국임업진흥원공간정보 분석서비스42021년 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현행화 사업2021.11~2021.1220,000한국임업진흥원산림기온·지형 데이터 분석 서비스52021년 산림공간정보기반 산림면적 통계 분석용역2021.08~2021.1222,000한국임업진흥원산림공간정보 분석 서비스62020년 산림공간정보기반 산림면적 분석 용역2020.08~2020.1222,000한국임업진흥원산림공간정보 분석 서비스72020년 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구축2020.07~2020.1210,000한국임업진흥원산림기온·지형 데이터 분석 서비스8산림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3차년도)2021.01~2021.12190,000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산림기상정보 빅데이터 서비스 9산림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2차년도)2020.01~2020.12300,000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산림기상정보 빅데이터 서비스 10산림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1차년도)2019.07~2019.12400,000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산림기상정보 빅데이터 서비스 112019년 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및산림청정도 현행화사업2019.11~2019.1220,000한국임업진흥원산림기온·지형 데이터 분석 서비스12산림공간정보 기반 산림면적 분석 용역2019.09~2019.0920,000한국임업진흥원산림공간정보 분석 서비스13단기소득임산물 재배적지도 및 산림청정도 현행화 사업2018.07~2018.0918,182한국임업진흥원산림기온·지형 데이터 분석 서비스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 ㈜우림엔알은 2008년 창업 후 산림환경전문기업으로서 ICT를 활용한 산림환경의 조사데이터 분석시스템 개발 사업 등을 수행하여 업무 수행 능력을 충분히 갖추었으며, 현재의 기술력에 안주하지 않고 신기술 개발과 고객의 요구사항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자연자원정보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주요 사업 분야는 산림정보화 부문에 있어서 관련 컨설팅 및 IT 시스템 개발, 공간정보 및 DB구축, 솔루션 개발, IOT 정보관리 등 이며 최근 산악기상 빅데이터 센터로 산악기상 관련 정보 등을 분석, 구축, 제공하고 있습니다.단계단계별 내용기본단계필지별 산림환경정보 가공서비스 제공고도화 1단계 (플랫폼 개발)수요기업 또는 지자체, 개인이 조건을 선택하여 직접 분석할 수 있도록 플랫폼 개발고도화 2단계(컨설팅)필지별 산림환경정보를 활용하여 수요기업의 신규 비즈니스 모델 개발 컨설팅 및 비즈니스 효율화 컨설팅 진행
  • 활용 사례 : 산악기상 정보 가공서비스활용 예시 및 수요처·귀산촌 인구와 임업후계자 등 임업인의 단기소득임산물 재배 또는 조림시 소유하고 있는 필지별 산림기상 정보를 활용하여 작물 선택부터 재배지 선정 관련 의사결정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합니다.·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 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필지별 산림기상 정보를 활용하여 재해를 대비한 사방댐,산불소화시설 설치 대상지 선정에 활용 가능합니다.
    -기상정보는 관측소에 대한 측정값을 공개하고 있으며,관측소 외의 지역에 대해 별도의 기상정보 데이터를 일반 기업 또는 학술기관에서 가공이 힘든 상황입니다.특정 지점 또는 필지에 대한 정확한 기상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산림지형 분석 서비스활용 예시 및 수요처·산림관련 법인 또는 엔지니어링,산림조합에서 산림내 임도,풍력발전 시설 그리고 재해를 대비한 사방댐,산불소화시설 설치시 정확한 지형 분석이 필요합니다.필지별로 설치 지점에 대한 정확한 지형 분석 정보를 제공합니다.·산림관련 법인 또는 엔지니어링에서 산지전용시 표고,경사 등 필지에 대한 지형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산림유역 분석 서비스활용 예시 및 수요처 · 산림관련 법인 또는 엔지니어링, 산림조합에서 산림내 물 흐름을 분석하여 여름철 집중성 호우로 인한 홍수를 대비한 사방댐 설치 대상지 선정시 활용 가능합니다.
    – 필지별 지형 분석을 통하여 활용도 높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산림수종 판독 서비스 활용 예시 및 수요처 · 산림관련 법인 또는 엔지니어링에서 산지 전용시 임목재적의 자료와 환경영향평가 관련 자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필지별 분석을 통하여 활용도 높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웹플러스존 소개

  • 웹플러스존은 2017-01-23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송파구 오금로11길 29-14 보륜빌딩 5층
  • 주요 서비스 : – 상품의 구매 및 검색 데이터를 DB로 구축하여 고객별, 연령별, 상품별, 기간별로 데이터를 가공하여 리스트 및 시각화하여 제공.
    – 고객별 상담 데이터를 DB로 구축하여 유형별, 상담원별로 데이터를 가공하여 리스트 및 시각화하여 제공.
    – 연구용 입력 데이터를 DB로 구축하여 다양한 통계를 표출할 수 있도록 리스트 및 시각화하여 제공.
    – 가공하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TABLE별로 자료형(TEXT, CHAR, DATETIME)으로 데이터의 구조를 결정하여 제공.
    – 가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접근성이 용이한 웹기반으로 수집하여 Database에 저장.
    – 저장된 Database의 데이터를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게 리스트 및 시각화하여 표출.
    – 표출된 정보의 오류가 있는지 반복적으로 검사하여 제출.
  • 보유 솔루션 :
  • 품질 확보 전략 : ■ 품질 확보
    – 컬럼 분석(Column Analysis) : 통계적 기법을 통한 데이터 분석(표본 추출 ~ 전수검사)
    – 날짜 분석(Date Type Analysis) : Data Type은 Character이나 의미상 날짜/시간 유형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분석
    – 패턴 분석(Pattern Analysis) : 문자, 숫자 등으로 구성된 특정 패턴을 갖는 값이 일관된 패턴을 갖는지 여부 점검
    – 코드 분석(Code Analysis) : 개별코드, 통합코드 마스터와 트랜젝션 코드와의 유효성 분석
    – 참조무결성 분석(Referential Integrity Analysis) : 부모
    -자식 관계 데이터의 참조 무결성 분석■ 전략
    – 고객의 니즈와 시장 환경 및 트랜드를 반영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분석 및 설계를 진행
    – 데이터관리의 인식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인식 전환
    – 지속적인 데이터 관리와 활동으로 고객 만족 제공
  • 유지보수 전략 : – 납품완료한 수요기업에 기본 3개월의 무상AS제공
    – 수요기업과 협의하여 별도의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
    – 수요기업별 전담 엔지니어을 배정하여 상시 모니터링 및 이슈 발생시 신속 대응하여 오류 제거
    – 수요기업의 기능 추가 요청시 기존에 참여했던 개발자를 우선 배정하여 개발 진행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코딩,시각화,정보추출또는조합,태깅또는라벨링,분석
  • 실적 : – 한국섬유스마트연구원 웹서비스 개발 및 구축, 유지보수 계약 체결
    – 인구보건복지협회 웹서비스 개발 및 구축, 유지보수 계약 체결
    – 한국관광공사의 관광업계 디지털전환사업의 개발공급업체로 선정되어 2021년, 2022년 웹서비스 및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구축
    – 유진바이오소프트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통계관리 시스템 개발 및 구축.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웹플러스존은 자체 개발된 솔루션을 기반으로 하는 Web, App, Customize Solution, 데이터가공 및 구축 전문 개발사입니다.소재지는 서울시 송파구 방이동에 위치해 있으며 2017년 설립이후 지속적인 매출성장과 솔루션 개발실적을 확보해나가고 있으며 20년 개발 경력의 대표자가 선두에서 개발을 시행하고 있습니다.관리팀, 개발팀, 디자인팀, AS팀으로 업무를 분장하여 조직적이며 체계적이고 30여명의 고급 개발 인력풀을 가동하고 있습니다.개발과 납품으로 끝나는 서비스가 아닌 아이템 기획부터 개발, 배포, 마케팅 전반의 One
    -stop service를 제공하는 개발사입니다.디지털 데이터의 확보가 비즈니스의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또한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비즈니스의 성공적인 안착 및 경쟁력의 주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소재지 : 서울시 송파구 방이동 39
    -12 보륜빌딩 5층홈페이지 : http://www.webpluszone.co.kr상담전화 : 02
    -421
    -0804 / 010
    -2402
    -****이메일 : develop@webpluszone.co.kr
  • 활용 사례 :

케이티넥스알 소개

  • 케이티넥스알은 2007-01-31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295 삼성생명 잠실빌딩 16층
  • 주요 서비스 : 1.가공 서비스 지원 범위
    □데이터 전처리, 품질, 코딩, 시각화, 분석 등 업무에 대한 가공 서비스를 지원○(전처리) Raw data를 고객이 원하는 분석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는 서비스 제공○(품질) 데이터 정합성을 확보하여 데이터 및 가공의 품질을 유지 및 개선 및 관리○(코딩/분석/시각화) R, python 등의 오픈 소스를 활용한 코딩 서비스,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분석모델 가공, 분석결과 시각화 서비스 제공업무 유형업무 내용kt NexR 지원영역전처리
    – 고객이 원하는 분석모델에 맞게 다수의 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 간 Key 컬럼을 활용하여 하나의 분석 마트를 구축하는 행위
    – 고객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데이터만을 선별, 정제지원품질
    – 데이터의 각 컬럼별 특성에 따른 Quality check 진행
    – 데이터 간 관계 및 매핑 분석, 기준 컬럼에 따른 패턴 분석
    – 이력성 데이터 테이블의 추이 분석 진행
    – 품질 향상을 위한 단일 및 연계 테이블의 결측값 및 이상값 보정 가공
    – 데이터 품질개선 및 품질 결과의 개선 이력 관리를 위해 품질분석 활동 설계·실행 프로세스 정립·보고서 생성지원코딩
    – R, python 등의 오픈 소스를 활용하여 다양한 라이브러리에 기반해 목적에 맞는 가공을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 알고리즘을 구현
    – 구현된 프로세스, 알고리즘의 성능(Performance) 향상을 위한 튜닝 가공 과정을 거침지원시각화
    – 가공 목적에 부합하게 데이터를 지도, 그래프, 차트 등의 형태로 표현
    – 시각적 요소를 사용하여 데이터에서 추세, 이상값 및 패턴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 유형지원정보추출 또는조합
    – 이미지, 영상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 태깅, 스크립팅
    – 집단화된 콘텐츠의 DB화를 위한 메타데이터 구축미지원태깅, 라벨링
    –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데이터에 태깅, 라벨링, 언라벨링미지원분석
    – 인사이트 발굴을 위한 목적별 최적의 빅데이터 분석
  • 보유 솔루션 : □kt NexR은 데이터 수집
    -저장
    -처리
    -암호화
    -분석의 모든 영역의 제품을 보유○수요기업 가공 서비스에 부합하는 자사의 제품을 적재적소에 활용 가능
    □대용량 데이터 가공, 실시간 데이터 가공,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처리, 비식별화 처리가 가능한 제품을 보유○(NDAP) 국내 최초 하둡 기반 상용 빅데이터 솔루션으로 대용량 데이터 수집, 처리, 저장, 조회, 관리 분석이 가능한 All
    -In
    -One 플랫폼NDAP 제품 개요구분주요 특장점검증된 데이터가공,빅데이터플랫폼
    -빅데이터 수집/처리/저장/적재/조회/관리/분석All
    -in
    -one솔루션
    -다양한 대형 프로젝트를 통해 제품 검증 및 지속적 업데이트
    -국내 최초 빅데이터GS인증
    -자체 개발한 대용량 데이터에 대한 고급분석 및 마이닝을 지원하는빅데이터에 최적화된 고급통계 분석툴 지원안정적인 제공 및 지원 체계
    -대기업 계열사로 안정적인 회사 운영 및 대내 사업을 통한 안정적인매출 규모 확보
    -대외 비즈니스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구조
    – 10년의 제품 개발 노하우 및 안정적인 기술 지원데이터 가공관련 전문인력보유
    -데이터 분석가 포함 전문 엔지니어60여명 보유
    -세계적으로 검증된 빅데이터 전문성빅데이터 관련구축 노하우
    – KT내부 및 대외에서 대형 빅데이터 구축 사례 보유
    – 10PB이상의 대용량 데이터, 250대 이상의Hadoop클러스터를구성하면서 축적된 기술 노하우국내TTA인증 및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GS인증O○(NexR Enterprise) 클라우드 환경에 특화된 데이터 가공, 분석 전문 플랫폼NE 제품 개요구분주요 특장점손쉬운 구성
    – Docker Container 기반 서비스
    – 클라우드에 최적, 모든 환경에서 간편한 설치
    – 기업, 부서, 공공 데이터 장벽 간 손쉬운 가공 및 처리접근성 및 편의성
    – Data Scientist의 역할, 편의성이 보장된 분석 환경 및 도구 활용 가능
    – 워크플로우 기능을 통한 손쉬운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수립 가능
    – GUI 기반 서비스 관리와 모니터링 도구로 직관성 제공확장성
    – 손쉬운 데이터 연결 및 수집 가능
  • 품질 확보 전략 : 1.가공 서비스 품질 전담 조직 및 인력 구성 방안
    □ 품질 관련 전담 조직 구성(안)○ (조직) 데이터 상품 및 서비스의 지속적인 품질 관리를 위한 조직 구성○ (인력) 데이터 바우처 관련 품질 전담 인력 구성
    – 품질 계획 및 진행 경과, 의사 결정 관리
    – 서비스 관련 산출물 최종 승인 및 관리 등담당자노현정 책임연구원담당업무
    – 데이터 가공/분석 서비스 컨설팅 담당서비스 품질 및 사후 관리 총괄이메일contact@nexr.com휴대폰010
    -4623
    -****회사주소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95, 삼성생명잠실빌딩 16층2.품질 관리 프로세스 수립
    □품질 관리 계획에 근거한 표준화 된 품질 활동 시행○(요구사항 관리) 품질 요구사항 관리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음단계요구사항 관리 주요 내용1.
    품질 요건 분석
    – 요구사항 및 수요계획 특성/품질 요구사항 식별
    – 수요기업 요구사항 분석2.
    품질 목표 수립
    – 요구사항에 대한 관리 가능한 지표 선정
    – 지표 벼목표 수준 정의 및 합의3.
    검토 및 검증 활동
    – 품질 목표 달성을 위하여 단계별 검토 및 검증 활동
    – 검토 및 검증 결과에 대한 기록, 산출물 관리4.
    품질 평가
    – 제공된 바우처에 대하여 단계별 품질 검토 항목 기준으로수요기업 요구사항 충족 여부 평가5.
    개선 활동
    – 품질 지표 항목별 충족 달성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 활동 수행 ○ (데이터) 제공 데이터의 표준화/품질 확보를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제시단계요구사항 관리 주요 내용1.
    품질 요건 분석
    – 품질 관리 조직 및 인력 할당
    – 품질 목표 정의 및 관리 대상 선정
    – 품질 진단 및 개선 계획 수립2.
    품질 목표 수립
    – 데이터 표준 수립, 적용 및 점검
    – 데이터 구조 일관성 정의 및 오류 데이터 방지 계획 등 수립3.
    검토 및 검증 활동
    – 데이터 품질 진단 및 개선
    – 가공 데이터 산출
  • 유지보수 전략 : 1.가공 서비스 제공 계획 및 목표
    □데이터 전처리
    -품질
    -코딩
    -분석
    -시각화 등을 통한 가공 서비스 지원
    □관광/금융/통신/공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가공을 통해 수요기업 맞춤형 서비스 창출○ 주요 가공 데이터 (예시)
    – 관광 Data : 관광 상품 구매 이력, 관광지 정보 등
    – 금융 Data : 카드 거래 내역 및 이력 정보
    – 통신 Data : 유동인구 데이터
    – 공공 Data : 공공 ITS, BIS 정보, 공공개방정보 등
    – 제조 Data : 기기별 사용자 정보, 기기 온도/습도 정보 등○원천데이터 융합/분석을 통한 분석모델 개발, 시각화 제공 가능
    – 요구사항 범위에 따라 별도 협의 가능○수요기업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각 분야별 분석 서비스 제공으로 수요기업 데이터 활용 방안 극대화
    – (예시
    1) 관광 분야 : 유동인구 데이터 x 관광 데이터 융합분석을 통한 맞춤형 여행지 선정 서비스 제공
    – (예시
    2) 공공 데이터(BIS, ITS) 분석을 통한 버스 정류장 혼잡도, 최적 노선 선정 등의 분석모델 제공
    – (예시3) 금융 고객 데이터 등을 활용한 마케팅 예측모형 개발 등2.가공 서비스 관리 방안
    □검증된 표준방법론을 통한 사업 관리체계 적용
    □데이터 바우처 사업에 대한 중점 관리사항○(의사소통) 수요기업 및 유관기관과의 원활하고 신속한 의사소통 체계 확립○(품질) 전사 품질체계에 입각한 사업관리 방법론 적용○(지원) 수요기업 요구사항에 따른 추가 기술 지원, 품질 보증 등 데이터 바우처의 성공적인 활용을 위한 요소 적시 지원○(도구) 필요시 관리 방법론을 보완할 추가 도구 활용 가능(일정관리 tool 등)3.서비스 제공 후 사후 관리계획
    □서비스 제공 후 유지보수 및 사후 관리를 위한 전문 조직 구성(안) 제시○Help Desk 및 비상연락망 운영으로 신속한 고객 대응 가능
    □체계적인 유지보수 및 사후 관리를 위한 지원 절차 수립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코딩,시각화,분석,기타
  • 실적 : ○최근 3개년(2020년~2022년) 간 13건의 유사사업 수행 경험 보유사업명계약 기간발주처사업내용 및 성과관광 빅데이터플랫폼 구축 3차2022.06∼2022.09한국관광공사
    – AI 관광분석 페이지 인사이트 Pool 다양화 및 지역별 관광활성화 지수 분석 검증 및 지수 산출 자동화 수행kt 데이터 컨설팅2022.01∼2022.12KT
    – 시스템 장애 사례를 대상으로 장애 원인 및 데이터 구조 분석을 통해 데이터 관점의 개선 방안 도출
    – 데이터 기반의 이상탐지 알고리즘 효과성 검증빅데이터 AI 플랫폼 구축2021.11∼2022.04흥국화재
    – 보험사 빅데이터 활용 인프라 구축 및 분석 모델 개발범농협 빅데이터플랫폼 구축2021.09∼2022.04농협중앙회
    – 농산물 가격 예측 모델 개발 및 영농환경 변화 대응 지원을 위한 시각화 항목 설계빅데이터 허브 플랫폼 구축2021.06∼2021.09충북도청
    – 지역 맞춤형 빅데이터 분석 모델을 개발하고, 공공데이터 개방과 공유 기반을 마련하는 충북형 빅데이터 공유 활용 허브시스템디지털 그리드 선박 개발2021.05∼2021.07한국조선해양
    – 선박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의 변수 간 관계와 특징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데이터 기반의 운항 가능성 확인통신구 화재이상징후 분석2021.01∼2021.03KT
    – 통신구 내 화재 감시 및 징후예측을 위한 분석모델 개발kt 데이터 컨설팅2021.01∼2021.12KT
    – 데이터 품질 관리 지표 개발 컨설팅 수행
    – 미디어 마케팅 지수 모델 개발 컨설팅 수행
    – VOC 데이터 기반의 상담 업무 관리 및 개선을 위한 분석 컨설팅 수행빅데이터와 함께하는똑똑한컨설팅2020.08∼2020.12한국관광공사
    – 12개 대상지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맞춤형 컨설팅 제공관광 빅데이터 플랫폼구축 1차2020.06∼2020.12한국관광공사
    – 관광 데이터 기반의 미래형 관광 정책 결정 및 마케팅으로의 혁신과 관광산업 이해관계자에게 적시성 있는 데이터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1.기업 일반 현황
    □ (개요) kt NexR은 데이터 서비스를 통한 토털 데이터 서비스 기업을 지향하며, 새로운 가치와 혁신을 리딩하는 기업임○국내 최고의 기술 전문인력, 축적된 경험과 전문 기술을 바탕으로 데이터 컨설팅, 시스템 설계 및 구축까지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최적화된 형태의 토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구분내용회사명kt NexR (케이티넥스알)설립일2007년(업력 15년 이상)대표이사이호재주소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95, 삼성생명잠실빌딩 16층인력현황112명 (2022.10 기준)사업종류(업태/종목)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빅데이터 및 데이터 분석 컨설팅,R&D(Big data, Cloud 솔루션 개발),ITO(IT Outsourcing)○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플랫폼뿐만 아니라 데이터 컨설팅 등 10년 이상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데이터 중심의 서비스 환경을 구축○ kt NexR은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한 기업이며, 다양한 산업별 빅데이터 프로젝트 구축 및 분석 경험을 보유
    □(비전) 데이터에 가치를 더하는 토털 데이터 서비스 기업○고객이 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토털 데이터 서비스 기업을 지향하며,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최적화된 완성된 형태의 빅데이터 End
    -To
    -End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함
    □(연혁) kt NexR은 글로벌 기업과 대등한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한 기술 중심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별 빅데이터 솔루션 경험을 보유○지속적인 솔루션 개발을 통해 자체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 최고의 빅데이터 SW 및 전문적인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주요 연혁 및 내용(202
    2)
    -클라우드 기반 차세대 빅데이터 플랫폼(NexR Data Cloud) 출시
    – 코리아 빅데이터 어워드 대상 수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202
    1)
    – NexR Bookshelf(데이터 분석 환경) 서비스 출시
    – NexR Anonymous(비식별
  • 활용 사례 : □수요기업 활용 데이터 및 니즈에 따른 가공 서비스 제공을 통해 다양한 분석·예측에 모델 적용 가능○(관광데이터) 관광객 데이터, 소셜/SNS 데이터 등을 활용해 여행예보 모델, 관광지표 개발, 재방문 예측 모델링 등 적용 가능○(금융데이터) 은행, 카드, 보험사 데이터,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 예측 모형, 소비 패턴 분석 등 적용 가능○(통신데이터) 유동인구 데이터, 생활인구 데이터, 시간대별 유입율 등을 활용해 이상 청구 예측 모형, 이탈률 예측 모델 등 적용 가능○(공공데이터) 교통카드 데이터, 지하철 데이터 등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예측모형 개발 및 운행 패턴 개발 등 적용 가능○(제조데이터) 제조 기기별 사용자 정보, 기기별 불량 정보, 사용시간/패턴 데이터 등을 활용해 이상 현상 감지, 로직 모델 개발 등 적용 가능

이수국제특허법률사무소 소개

  • 이수국제특허법률사무소은 2011-09-01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360 5층(방이동)
  • 주요 서비스 : ○ 데이터 분석시장과 관련하여, 미국은 공개정보, 상업정보, 개인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 원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3자에게 공유 혹은 재판매하거나 데이터를 가공·분석하여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브로커 기업)을 통해 데이터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음.
    데이터 브로커 기업은 데이터 전문기업으로 데이터 가공·분석 등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형태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
    2012년 연방거래위원회(FTC)에서 조사한 주요 9개 업체 매출액만으로도 4억 2,670만 달러(한화 약 4,900억 원)에 달함○ 중국의 데이터 거래 시장은 2014년 설립된 구이양 빅데이터 거래소를 시작으로 중국 전역에 개설된 데이터 거래소를 통해 주도되고 있음.
    중국의 데이터 거래소는 주로 지방정부의 정책에 따라 설립된 정부주도형 거래소와 데이터 자원을 보유하는 기업이 자발적으로 설립한 데이터거래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부주도형 데이터거래소는 주로 정부의 독자적인 국영기업, 국영기업과 민영기업의 합작형태로 운영되고 있음○ 일본에서의 데이터 거래 시장은 주로 민간에서 벤처기업들이 중심이 되어, 사물인터넷(IoT) 분야 데이터 유통·거래 플랫폼을 제공하거나 관련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음○ 일본 정부는 데이터 거래 활성화를 위해 2018년 6월 경제산업성 주도로 민간기업들이 데이터 이용·거래 또는 AI 기반 SW 개발·이용 계약시 참고해야 할 가이드라인 3판을 발표하였으며, 이는 데이터 거래형태·거래방식 등을 철저하게 사례 중심으로 접근하고 수시로 방법론 등을 전수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유형별·산업별 특성에 맞는 거래 모델을 도출하려고 노력하고 있음○ 기존의 데이터 산업이 데이터 ‘수집/구축/관리’ 중심이었다면, 최근에는 데이터 ‘활용’으로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는 실정임.
    따라서, 이수국제특허법률사무소에서는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을 통해 서비스 개발, 고도화, 데이터 분석 등 비즈니스 추진을 위해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 가공서비스를 제공하고 함
  • 보유 솔루션 : ○ 데이터 가공 솔루션 프로세스
    1) 데이터 수집
    – 계획수립 : 수요기업의 니즈 파악 분석대상 기술파악 분석범위 설정
    – 특허검색 : Raw data 확보
    2) 데이터 가공 및 시각화
    – 데이터 전처리 : 유효데이터 선별 핵심특허 추출
    – 데이터 분석 : 특허데이터 시각화 권리범위 분석/침해분석 3) 시사점 도출
    – 전략제안 : 핵심특허 대응전략 무효조사 및 회피설계 제안
  • 품질 확보 전략 : ○ 이수국제특허법률사무소는 본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관리기관의 요구에 전적으로 부응하고, 과제 대상 기술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수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음○ 용역 수행 시 모든 과업을 해당분야 전문가가 수행하도록 수행인력 관리를 철저히 함○ 사업 추진 각 단계별 방향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관리기관 또는 수요기업의 검수를 받고 각 단계에 착수○ 과제기간 중 중간 과정에 대하여 관리기관의 점검을 받으면서, 피드백을 통해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사업을 수행○ 용역수행 상 사정에 의하여 추진과정의 일부 변경이 필요할 시 사전에 관리기관 및 수요기업과 협의를 하여 승인 후 변경 적용함○ 결과보고서에 대한 관리기관 및 수요기관의 검수를 받고 최종 결과보고서를 제출함으로써 사업수행 완료함○ 결과보고서 제출 이후 보완사항이 필요한 경우 이에 대한 보완 요구사항을 성실히 수행함
  • 유지보수 전략 : ○ 이수국제특허법률사무소는 사업 완료 후, 수요기업의 환경적, 기술적 특성을 이해하는 유지보수 책임자를 지정하여, 하자보수 및 장애발생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며 당사는 아래와 같은 지원체계를 유지함 ○ 유지보수 책임자 : 수요기업 관리 및 수요기업 니즈 파악, 가공된 데이터 품질관리 김정수 변리사 ○ 유지보수 담당자 : 가공서비스 안내, 데이터 재가공장혁재 부장우수원 차장
  • 카테고리 구분 : 시각화,분석
  • 실적 : ○ 이수국제특허법률사무소는 지역 지식재산센터 주관 기업 특허맵, IP 고도화 컨설팅 지원사업 및 C&IP 융합컨설팅 지원사업 등과 민간 기업체 또는 대학/연구기관에서 의뢰받은 기술에 대한 특허정보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한 바 있음 연번사업명사업기간발주처비고12022년 IP나래 1차 지원사업(생산관리 시스템(MES))2022
    -06
    -07 ~ 2022
    -09
    -08한국발명진흥회 전북지부 22022년 글로벌 IP 스타기업 특허맵 심화(광열 치료를 통한 반려동물 유선종양 및 피부질환 치료)2022
    -06
    -07 ~ 2022
    -10
    -14대구상공회의소 32022년 IP나래 1차 지원사업(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서비스 플랫폼)2022
    -05
    -16 ~ 2022
    -08
    -23충북지식재산센터 42022년 IP나래 1차 지원사업(반도체용 칠러 장비)2022
    -05
    -16 ~ 2022
    -08
    -23충북지식재산센터 52022년 IP나래 1차 지원사업(콘크리트 수집 시스템 기술)2022
    -05
    -16 ~ 2022
    -08
    -23충북지식재산센터 62022 충북 IP(지식재산) 디딤돌 프로그램 아이디어 권리화2022
    -05
    -25 ~ 2022
    -12
    -14충북지식재산센터 72021년 IP디딤돌 아이디어 권리화 지원사업(충남)2021
    -05
    -21 ~ 2021
    -12
    -10충남지식재산센터 82020~2021 IP
    -R&D 전략지원 사업(국산 코트막 소재와 가이드 플레이트 고다층 MLO를 활용한 DRAM 메모리 및 AP 비메모리 평가용 프로브카드 기술개발)2020
    -12
    -22 ~ 2021
    -05
    -11한국특허전략개발원 92020~2021 IP
    -R&D 전략지원 사업(반도체 후공정용 Photo definable 절연막 사용화 기술개발)2020
    -12
    -22 ~ 2021
    -05
    -11한국특허전략개발원 102021 IP
    -R&D 전략지원 사업(대용량 오리피스 노즐 방식 습식집진설비 개발)2021
    -03
    -02 ~ 2021
    -04
    -30한국특허전략개발원 112021 IP나래 지원사업(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1) 기업개요○ 당소는 2011년 사무소 설립이후 꾸준하게 성장해온 사무소로써 전기/전자, 기계/금속, 화학/바이오 분야를 담당하는 별도의 팀을 구성하고 있고, 다양한 실무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팀장급 변리사가 각 팀의 특허명세서 및 특허데이터 분석 결과물을 검수하는 등 제반 업무를 총괄하고 있음○ 각 기술분야를 전공한 연구원들이 해당분야의 정보분석 및 사업화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으며, 당사의 책임 연구원들은 대부분 1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베테랑으로 구성되어 있음
    2) 역량○ 소속 인원들은 변리사, 기술거래사, 특허/조사 분석 엔지니어등 전문가들로 구성되어있으며, 특허, 문헌, 시장 조사/분석/평가/이전 등 제안 사업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 경험이 있는 베테랑으로 구성되어 있음○ 다수의 대학, 정부출연 연구소 등 연구 성과분석, 사업화 컨설팅, 기술이전 및 사업 화 연관 사업을 다수 수행한 경험이 있으며, 특허DB, 시장DB, 기업정보DB 등 차 별화된 정보원 및 분석 Tool 보유하고 있음○ 자체보유 기술거래 사이트(www.isuip.com)를 통해 판매희망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기술 마케팅/ 이전, 특허분석(PM), IP
    -R&D 전략 구축 및 기술사업화지원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기술이전뿐만 아니라 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 활용 사례 : ○ 지표분석을 통한 유망기술 도출
    – 주요 출원인 분석, 기술경쟁력,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등 주요 경쟁국과 들과의 경쟁력, 기술성장 단계 분석과 유망성, 공백기술, 장벽성에 관한 새로운 지표를 기본적으로 적용하여 세부 핵심 기술들에 대한 산업별 유망기술을 도출 ○ 특허 검색
    – 기술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하여 기술분류를 작성, 수요기업과의 회의내용을 바탕으로 기술분류를 확장하여 진행하며, 수정된 기술분류(중분류)를 바탕으로, 수요기업과의 협의를 통해 소분류 설정 및 키워드 도출을 진행 ○ 데이터 전처리
    – IP 기술진단에서 한국, 미국, 일본, 유럽의 공개/등록 특허를 특허 분석 대상으로 하여, 각 기술 트리에 부합하는 유효특허를 추출하며, ~2020년 02월(검색일 기준)까지 출원 공개 또는 특허 등록된 유효특허를 분석대상으로 함
    – 기업 연구원 또는 기술자문 위원이 핵심특허를 선정하거나 또는 핵심특허 선정 방법에 의해 선정 후 핵심특허 분석을 실시함 ○ 데이터 분석
    – 특허기술 Landscape에서는 조사대상국인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에서의 주요시장국 기술개발 활동현황, 구간별 출원인수와 출원 건수의 증감정도의 분석을 통한 기술시장 성장단계파악을 통해 국가 간 기술경쟁력 현황 분석 등을 통해 국가별 Landscape를 분석함
    – 상위 Top10의 다 출원인 도출을 통하여 주요 경쟁자 현황 및 IP로 본 주요시장국을 분석하고, 주요 경쟁자들의 시장확보력 및 기술력, 주력 기술분야에 대한 파악을 통하여 경쟁자 Landscape를 분석함
    – 주요 출원기관 및 기업의 출원 건을 세부기술 별로 구분하고, 보유 제품 및 연구개발 내용을 연결하여 각 기관 및 기업 별 주력 세부기술분야 및 공백 영역을 파악
    – 주요경쟁 기업의 기술개발동향, 기술의 발전 동향 및 관련 산업의 시장동향 등을 조사·분석하여 추후 미래유망기술 예측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과제 분야에서 특허분쟁이 발생된 사례를 조사·분석

빅베이스 주식회사 소개

  • 빅베이스 주식회사은 2017-02-14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2길 22-13 203호 B
  • 주요 서비스 : ■주요 기술기술내용수집 기술AI수집 기술 및 사용자 모사 기반 수집 기술빅데이터 분석기술공간정보 기반분석,상권분석,이슈 분석,추세분석 등AI기반 분석빅데이터 가공/연계정형,비정형 데이터 정제,변환,연계 등 데이터 가공(공공데이터와 고객사 데이터 연계 가공)데이터 라벨링NLP기반 텍스트 데이터 라벨링,공간정보 기반 속성AI라벨링빅데이터 데이터 동기화공공데이터 가공 연계,외부 연계 갱신 데이터와고객사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모니터링 서비스서비스운영,데이터 품질,데이터 변동,국내외 소셜(SNS),쇼핑,공간정보,기타 고객 요청 정보 등모니터링 서비스 공급■서비스 흐름 *전체 서비스 흐름(서비스 의뢰에서 유지보수 까지 전과정 관리)■데이터 수집 과정■데이터 전처리 동기화 과정■데이터 분석,라벨링 과정■공간 정보AI분석 처리 과정■데이터AI라벨링 과정■데이터 수집 연계 과정■데이터 품질 관리 절차■고객사 제공 인프라 및 서비스
  • 보유 솔루션 : ■보유 빅데이터 인프라1.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서비스 운영을 위해선 수백가지 서비스와 서버 인프라가 필요하여반드시 컨테이너 기반 클라우드 인프라가 구축 운영 되어야 합니다.2.
    빅베이스는 제대로된 빅데이터 개발/구축/운영 서비스를 위해서대기업 수준의 고객사 전용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회사 내부 서버실에서 자체적으로 구축하여 운영중에 있습니다.3.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다수의 서버를 가상화하여 수백 개의 컨테이너를 실시간으로 서버 스케일을 조정하며 운영하고 있어서버에서부터스토리지,네트워크,빅데이터 인프라, AI인프라 등빅데이터/ AI핵심 역량을 확보했습니다.■빅데이터 개발을DevOps방식으로 진행하여 개발 소프트웨어 품질과 빅데이터 운영 서비스 품질을 확보 하고 개발 안전성 및 생산성을 확보■특
    -장점
    – 배포/운영/관리/유지보수/장애복구/테스트 비용 감소
    -수요기업 맞춤 클라우드 환경 구축 가능
    -실시간 서비스 환경 제공
    -대용량 병렬 수집,분석,가공,데이터 전송 능력 확보
    -장애시 실시간 롤백을 통한 자동 장애복구
    -실시간 스케일 조정에 따른 수요처 폭증과 수요처 데이터 이용량 폭증에자동으로 대응 가능■보유 솔루션 및 기술구분내용비고수집RPA기반 수집/분석 작업 자동화 솔루션자체 개발수집사용자 모사 기반 수집 엔진 및 서비스자체 개발가공빅데이터 모니터링/라벨링 솔루션자체 개발가공데이터 품질 관리 라이브러리자체 개발데이터동기화데이터 동기화 서비스자체 개발Private cloud infradocker, kubernetes, rancher오픈소스 이용자체 구축Search EngineElasticSearch , Sphinx, Apache Lucene오픈소스 이용자체 구축메시지큐/작업 관리RabbitMQ, Apache Kafka, Quartz net오픈소스 이용자체 구축BigDatahadoop, Hive, Flume오픈소스 이용자체 구축NoSqlMongodb, Redis, Hbase, Cassandra오픈소스 이용자체 구축분석엔진Apache Spark,자연어 분석엔진,AI기반 분
  • 품질 확보 전략 : ■데이터 품질 확보 전략1.
    기본적으로 AI 기반 Semantic Domain data type detection 기반으로 데이터 오류나, 예외 항목에 대한 모니터링 및 검출을 최대한 자동으로 검출하여 데이터 품질을 확보합니다.2.
    빅데이터의 경우 순수 인력으로 데이터 품질 보장이 매우 어렵기때문에 최대한 솔루션 및 자체 보유 툴과 AI 기반으로 지능화된 “데이터 품질 확보 전략”을 운영하고 있습니다.*AI 기반 Semantic Domain data Type Detection 기반 데이터 품질 보장① 데이터 필터링을 통해 불용 정보, 목적 범위(시간, 크기, 범주) 외 데이터 필터링② 데이터 타입, 범주, 범위 등 목적 정보에 부합하지 않는 예외 값 복구 또는 제거 및 로깅 처리하여 수작업 복구 지원③ 데이터 타입, 범주, 목적 맞춤 데이터 자료형, 크기, 데이터 정합성 맞춤 등 변환 처리④ 데이터 특성 목적 유형에 따라 데이터 컬럼 별, 데이터 셋 별 분할 저장⑤ 목적에 맞춰 데이터셋간, 컬럼간 병합⑥ 데이터 이용 목적에 부합하게 범주, 유형, 코드, 컬럼 값 추출 별도 저장■서비스 품질관리1.
    DevOps 기반으로 개발을 진행하여 안전성, 협업강화, 보안성 강화, 신속성 확보가 가능합니다.2.
    요구조사, 개발 배포, 운영 등 대부분이 자동화되어 인프라, 배포 등에 자원 소모 없이 서비스 품질에 집중하여 서비스 품질을 확보 할 수 있습니다.3.
    DevOps + Private Cloud로 구축되어 개발 배포 운영 자동화 되어 서비스 오류나, 데이터 오류 등 서비스 품질에 장애가 있을 경우 실시간 롤백 등 자동으로 서비스 복구가 되어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 확보가 가능합니다.■품질 관리 전담인력전문 품질 관리 전담 인력을 지정하고 필요시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품질 확보를 위한 전담 인력 채용할 계획입니다.■테스트 자동화를 통한 개발, 배포, 운영, 장애복구, 유지보수 전 과정에 대한 자동화를 통한 실질적인 품질 확보1.
    단위 테스트, 사용자 테스트를 DevOps
  • 유지보수 전략 : ■ 서비스 제공 계획 및 관리 계획■제공 목표365일 24간 안정적인 클라우드 기반 빅데이터 AI 서비스 제공■관리 계획수요처 공급 대시보드와 협업 툴을 이용하여 고객사와 실시간 소통하며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과 함께 고객(수요처) 관리를 운영합니다.■유지 보수 방안전담 담당 인력으로 지정하여 고객 맞춤으로 유지보수를 제공합니다.■후속지원
    -협업
    -기술 고도화1.
    지속적 요구조사를 통해 고객사 요청 기술 개발 및 적용2.
    자체 기술 개발 결과를 고객에 제안하여 협업 체계 구축3.
    고객사 맞춤 기술 개발과 서비스 개발하여 서비스 고도화를 이루고 이를 통해 고객과 함께 동반 성장 목표■수요 증가 대응 방안1.
    업무 자동화를 통한 관리 포인트 및 낭비 인력 절감2.
    수요 증가에 맞춰 지속적인 개발, 운영 인력 수급3.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원격 운영을 통한 시스템 관리 인력 절감4.
    협력 기업을 통해 필수 기능 외주화를 통해 일시적인 수요 폭증에 대응■유지보수 대응 방안1.
    DevOps 개발 운영 방법론을 통해 개발 생산성, 유지보수 생산성, 배포 생산성을 극대화 시키고 대부분의 배포, 운영, 관리 업무를 자동화해서 탄력적으로 수요 대응이 가능합니다.2.
    자체 프라이빗 클라우드 운영을 통해 ‘프라이빗 클라우드가’ 아닐 경우 대응하기 어려운 범용 클라우드에서 미 지원하는 빅데이터 솔루션과, 요구 개발 환경을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을 통해 빅데이터 솔루션 도입 운영이 가능하여 개발 생산성, 호환성, 확장성을 확보합니다.3.
    유지보수 업무 중 단순 반복되는 업무의 상당수를 RPA를 이용하여 자동화합니다.4.
    클라우드 협업 플랫폼인 MS teams와 서비스 대시보드를 이용하여 고객사와 실시간 유지보수 및 대응합니다.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코딩,시각화,정보추출또는조합,태깅또는라벨링,분석,기타
  • 실적 : ■ 사업 참여 실적 및 성과공급일자공급 품목명 및 사업 내용참여기간사업비[단위:천원]고객사증빙자료2019.03.20“카페 방문자,매출,경쟁사 비교분석,지역SNS트렌드 분석 분석 서비스 제공“
    -국내 외5대SNS수집
    -고객사 카페 방문자 정보 수집등록 및 고객사프렌차이즈 가맹점 매출,경쟁사 매출 정보 등록관리
    -국내외SNS트렌드 와 경쟁사 매출 및SNS상 경쟁상품과 고객사 상품 비교를 통한 트렌드 분석 서비스 제공4개월50,000주식회사알베르계약서사본2019.04.10“광고마케팅 고객사용SNS경쟁사 분석,키워드 트렌드 빅데이터 서비스 구축”
    -국내 외5대SNS수집
    -고객사의 서비스 이용고객의SNS상 노출 키워드 분석및 빅데이터 기반 감성분석 서비스 제공5개월30,000주식회사나인클라우드계약서사본2019.10.21“광고마케팅 고객사용SNS경쟁사 분석,키워드 트렌드 빅데이터 서비스 구축”
    -국내 외5대SNS수집
    -고객사의 제품 및 브렌드의SNS상 노출 게시물의 주요 키워드 분석 및 긍부정 분석을 통한 빅데이터 기반 감성 및 트렌드 분석 서비스 제공6개월100,000휴메디계약서사본2019.06.10“소상공글로벌 셀러의 이익 최적화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 최상위 상품 추천 서비스”
    -국내 외 오픈마켓(네이버,aliexpress,쿠팡 등)상품 수집
    -수집 상품의 가격 비교 분석을 통한 가격 추론
    -국내외 상품 판매량 증감 트렌드 분석에 의한소상공인 맞춤 아이템 추천
    -소상공인 상품 컨텐츠 제작 트렌드 분석 결과 제공12개월231,000중소기업청제품서비스개발사업계약서사본2020.12.03“SNS빅데이터 모니터링 솔루션 구축”
    -국내 외5대SNS수집
    -고객사 요청 키워드 노출량 검색량 등을 모니터링하여 트렌드 분석 결과제공 및 게시물 감성,도메인 기반 분류 라벨링 처리2개월30,000투비스토리 주식회사계약서사본2021.01.25“부동산 빅데이터 솔루션 구축”
    – 내용 아래 그림 참고기반 입지 분석4개월72,600주식회사데이터리더계약서사본* 부동산 속성 정보 기반 빅데이터 수집AI분석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 회사 연혁2017.02.
    회사 설립2017.10.
    중소기업용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개발2018.01.
    전자지갑, 암호화폐 거래소 개발2018.09.
    빅데이터 AI 솔루션, 인프라 구축2019.02.
    P2P 형태의 암호화폐 거래소 개발2019.05.
    ‘쇼핑 빅데이터 서비스 개발 사업’ [중기청] R&D 사업2019.08.
    빅데이터 솔루션 구축 나인 클라우드 외 3건2020.04.
    빅데이터 수집/분석/정제 서비스 외 3건 구축2020.05.
    빅베이스 벤처기업인증 획득2020.06.
    빅베이스 기술연구소 설립2021.06.
    부동산 빅데이터(약 2억건) 수집/가공/정제 외 2건 구축■사업 분야 및 회사 비전1.
    빅베이스는 빅데이터 수집, 분석, 데이터 공급 등 빅데이터/AI 서비스 전문 기업입니다.2.
    빅데이터 수집/AI 분석/공공 빅데이터 연계/가공 데이터 자동 갱신/데이터 동기화 기술을 보유중입니다.3.
    빅데이터 운영에 필수적인 자체 [프라이빗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사업 영역 : 빅데이터/AI
    – 빅데이터 수집 : 국내외 소셜(SNS), 쇼핑, 공간정보, 기타 고객 요청 정보
    – 빅데이터 분석 : 공간정보 기반분석, 상권분석, 이슈 분석, 추세분석 등
    – 빅데이터 가공/연계 : 정형, 비정형 데이터 정제, 변환, 연계 등 데이터 가공
    – 데이터 라벨링 : NLP 기반 텍스트 데이터 라벨링, 공간정보 기반 속성 AI 라벨링
    – 빅데이터 데이터 동기화 : 외부 연계 갱신 데이터 고객사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
    – 모니터링 서비스 : 브랜드, 이슈, 트렌드, 공간정보, 기타 *모든 데이터는 자사 Private Cloud Container에서 2중화 이상 분산되어 안전하게 저장/가공/서비스 됩니다.
  • 활용 사례 : ■활용 예시
    1)자동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
    2)공간 정보AI가공 서비스

데이터바우처 사업관리 가공기업 정보

데이터바우처 사업관리 가공기업 정보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바우처 사업을 통해 지정된 공급기업 중 데이터 가공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데이터는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정보를 포괄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수요기업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가공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활용의 범위를 넓히고, 기업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데이터가 보유한 컬럼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한글명(문자형) : 해당 기업의 한글 이름
설립일자(날짜형) : 기업이 설립된 날짜
기본주소(문자형) : 기업의 본사 주소
상세주소(문자형) : 기업의 주소에 대한 추가 정보
주요서비스 상세정보(문자형) : 데이터 가공기업이 제공하는 구체적인 서비스 내용
보유솔루션(문자형) : 기업이 보유한 해결책 및 시스템에 관한 상세 정보
품질확보전략(문자형) : 데이터 품질 확보를 위한 기업의 전략
유지보수전략(문자형) : 데이터 가공 서비스 후속 지원 계획
카테고리구분(문자형) : 제공하는 데이터 가공 서비스의 카테고리 분류
등록일(날짜형) : 데이터가 등록된 날짜
실적(문자형) : 기업의 성과와 실적
기업개요 및 핵심역량(문자형) : 기업의 전반적인 설명과 주요 전문성
활용사례(문자형) : 데이터 및 서비스를 활용한 실제 사례
링크(URL) : 데이터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접근 링크

파일 다운받기

주요서비스 상세정보(요약), 보유솔루션(요약), 품질확보전략(요약), 유지보수(후속지원), 전략(요약), 실적(요약) 등의 일부 데이터 값은 데이터 미집계로 인해 공란이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