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데이터바우처 사업관리 가공기업 정보

전남 나주시 데이터바우처 사업관리 가공기업

전남 나주시 에는 (주)공감미디어, 파워콘스, (주)한국에너지데이터 외 1개의 가공기업이 있습니다.

(주)공감미디어 소개

  • (주)공감미디어은 2020-01-15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전남 나주시 정보화길 26 407호
  • 주요 서비스 : ○ 가공서비스명
    – 3D 배경 어셋 모델링, 3D 소품 어셋 모델링 가공 서비스 ○ 가공 상품의 활용
    – 3D배경 어셋 모델링을 활용하여 창작자가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신속하 게 콘텐츠 제작에 활용 가능 ○ 가공 상품의 특징
    1) 기본파일: Sketchup 프로그램 확장자 .SKP 파일
    2) 호환파일: .OBJ 파일, .DAE 파일 3) 제작 어플리케이션: Sketchup, Maya, ZBrush, Max3D ○ 가공 상품의 사양
    1) 스케치업 2013버전
    2) Intel(R) core(TM) i7
    -7700k cpu @ 4.20GHz / 32RAM / GTX1070
  • 보유 솔루션 : ○ 가공 기업의 보유 기술
    1) 플랫폼: 배경키트 플랫폼
    2) 기본파일: Sketchup 프로그램 확장자 .SKP 파일
    2) 호환파일: .OBJ 파일, .DAE 파일 3) 제작기술(SW): Sketchup, Maya, ZBrush, Max3D ○ 가공 상품의 사양
    1) 스케치업 2013버전
    2) Intel(R) core(TM) i7
    -7700k cpu @ 4.20GHz / 32RAM / GTX1070
  • 품질 확보 전략 : ○전략/핵심 기술장르별 카데고리 별로 세분화된 배경 소스다양한 장르의 창작자들을 위한 장르별 카데고리 분류를 통해 세분화 되고 창작자의 니즈를 충족하는 배경 소스 제공.고증 자료를 바탕으로 믿을 수 있는 배경 소스 제작국가별,시대별 고증자료를 기반으로 창작자들에게 확실하고 믿을 수 있는 배경 어셋 제공.2D/3D, 2D,브러쉬 등 다양한 기법의 배경 소스 제작2D/3D는 물로2D소스를 비롯한 브러쉬까지 창작자들에게 다양한 기법의 배경어셋 제공.○데이터 최적화 확보작업사양
    – CPU
    -인텔I7
    -4770
    -메모리
    -16GB
    -그래픽 카드
    -GTX960 4GB파일 용량
    – 2D파일 각1~150MB
    – 3D파일 각1~150MB○품질확보
    -표현의 다양성 확보
    -다양한 모드로 활용 가능한 표현의 다양성
    -확대/축소에도 변함없는 양질의 데이터○체계적인 시스템 확보
    -품질 제고를 위한 전담 조직 신설
    -검수를 통한 품질 관리 프로세스 구축
    -대외 컨설팅을 통한 데이터/서비스 품질 향상
  • 유지보수 전략 : ○유지보수 및 고객 관리
    -플랫폼 개발기업과의 업무제휴를 통한 플랫폼 관리 및 운영 솔루션 개발
    -소셜커머스 전문기업과의 업무제휴
    -수요기업 대상 지속적인 의겸 수렴
  • 카테고리 구분 : 기타
  • 실적 : ○주요실적배경키트 스토어 판매국내 배경 어셋 스토어 입점 및 판매일본 배경 플랫폼 입점을 통한 수출 판매2D/3D배경 어셋 펀딩 프로젝트 진행
    – 3,000여 명의 후원자들이 선택한 배경키트 펀딩 프로젝트
    -최소400%에서3000%이상의 펀딩 성공률을 달성함
    -지역 문화자원 아카이브를 통한 융합콘텐츠 개발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배경 어셋 개발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기업 개요2D/3D배경 어셋 제작 판매 및 웹툰 제작 전문기업주요사업 분야
    – 2D/3D배경 어셋 제작 및 판매 서비스
    -웹툰,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 서비스
    -메타버스, VR, AR융합콘텐츠제작 서비스○기업 역량공감미디어는 창작자 맞춤형 배경 서비스 전문 스토어 배경키트 운영을 통해 창작자 중심에서 고민하고 연구하여 창작자분들에게 더 나은 제작 환경과 쉽고 간편하게 작품의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리소스를 발굴하여 제작하고 있습니다.○핵심가치[주식회사 공감미디어]는 콘텐츠로 대중과 소통하고 공감하며 가치 있는 콘텐츠를 전달하는 콘텐츠 제작 전문 기업으로 공감미디어가 보유하고 있는 배경키트는 세트형태의 배경 어셋과 더불어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개별 어셋을 판매하여 알뜰하고 합리적인 배경 소스 구매가 가능하며,창작자와 작품 컨셉에 맞게다양하게 조립&배치하여 기존의 한정된 컨셉의 세트 배경에서 벗어나 작품 컨셉에 맞는 자신만의 배경을 손쉽게 만들 수 있다.
  • 활용 사례 : ○ 가공서비스명
    – 3D 배경 어셋 모델링, 3D 소품 어셋 모델링 가공 서비스 ○ 가공 상품의 활용
    – 3D배경 어셋 모델링을 활용하여 창작자가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신속하 게 콘텐츠 제작에 활용 가능○ 가공 상품의 활용범위
    1) 웹툰 배경
    2) 게임 배경 3) 애니메이션 배경 4) 융복합(AR/VR) 콘텐츠 배경 5) 메타버스 배경 6) 건축 설계디자인 7) 인테리어 설계디자인 8) 3D프린터 디자인○ 활용사례 활용 분야 활용 사례웹툰2D, 3D 웹툰 배경 게임2D, 3D 게임 배경애니메이션2D, 3D 애니메이션 배경융합콘텐츠VR, AR, 메타버스 배경건축3D 건축설계 도면, 건축 조감도, 3D 투시도인테리어가구 디자인, 3D 인테리어 설계 도면, 조명 디자인 설계3D 프린터캐릭터 피규어, 캐리커쳐 피규어, 건축 조형, 가구 조형, 소품 조형, 팬시조형

파워콘스 소개

  • 파워콘스은 2017-06-07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전남 나주시 혁신산단1길 50 312호
  • 주요 서비스 : 1)발전량 예측 서비스 프로세스
    – 의뢰 접수 및 가공서비스 협의 미팅 : 홈페이지 또는 유선 문의 및 의뢰 접수 후 최초 미팅 진행,수요기업의 요구사항 반영한 간단한 발전량 예측 서비스 방향 제안
    – 계약 협상 및 프로젝트 셋업 : 요구사항 확인 및 수행 일정 협의, 준비사항 점검
    – 프로젝트 수행 : 데이터 수집, 전처리, 발전량 예측 서비스 수행
    – 검수, 결과 제공, 종료 협의 : 최종 검수, 발전량 예측 서비스 전달, 유지관리
    2) 발전량 예측 서비스 추진계획
    -KPI 측정방법정의 : 문제정의 및 AI를 활용한 모델의 성능평가 방법 정의
    – 비즈니스의 이해 및 데이터 모델링 : 획득 가능한 데이터들의 상세 의미 파악, 도메인 지식으로부터 인사이트 추출
    – 데이터 수집 : 데이터 API 연결, 데이터 획득 주기 및 데이터 타입별 저장 방법 정의
    – 데이터 전처리 및 준비 : 데이터 필터링, 이종간 데이터 융복합 수행, 특징 추출 및 모델링
    – 데이터 분석 모델링 : 딥러닝 기법 등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모델 구축
    – 모델 검증 및 보완 : 하이프파라메터 튜닝을 통한 성능 향상, 앙상블 기법 등을 통한 모델간 결합
    –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 데이터 파이프라인의 연결과 자동화, 멀티쓰레드를 통해 데이터 부하에 따른 병렬 처리 지원
    – 데이터 프로덕트 검증 및 보완 : 데이터 확장성을 고려한 분산형 구조 설계, 지속적인 모델 튜닝 가이드라인 제공
    – 서비스와 모델 결합 :발전량 예측 서비스 결과를 수요기업 서비스와 API 형식으로 결합
  • 보유 솔루션 : 가.핵심 역량
    1)보유특허 9건
    – 발전량 예측 시스템 (파워콘스, 2021.
    12.
    2
    1) : 태양광 발전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중복합 인공신경망 분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석 기법을 체계적으로 적용하여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는 발전량 예측시스템으로서 태양광 발전 노화분석을 통한 발전량 예측, 수익성 분석을 더 정밀하게할 수 있는 부분에서 차별성을 보유함
    – 태양광 모니터링 센서 기술이전 완료 (목포대학교, 2020.1
    2)
    2)주요제품 : 태양광 IoT 센서, 발전량 예측, 스마트 분전반, 예측 플랫폼3)전력수요관리, BEMS, FEMS 등 가능한 IoT 센서, 스마트 분전반 분전기술 보유나.
    물적 자원
    1) 태양광 IoT 센서, 모니터링 RTU
    – 센서는 전압, 전류, 온도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가 mesh network로 연결되어 있음.
    – PC를 통한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센서의 값을 읽기 위해서는 센서에서 나오는 Zigbee 데이터를 읽어주는 안테나와 그 값을 RS485 통신으로 변환해주는 컨버터 변환된 데이터를 USB에 저장, PC 전달.
    2) 실시간 모니터링
    –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받아온 데이터에 적용하여 태양광 발전량 예측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시스템, 개별 DC전압, 전류, AC전압, 전류, 누적발전,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
    – 웹기반 브라우저 형태의 원격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적용으로 인버터별 발전현황 및 상태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 각 data는 엑셀파일 형태로 다운로드 가능하여 technical report 발행 가능3) 인공지능 예측 솔루션 * 열화 및 발전량 예측 솔루션
    – 온도계수를 일사량에 비례하여 조정하는 방식보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표준 환산 출력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사용한 열화율 예측 시스템
    – 태양광 발전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중복합 인공신경망 분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석 기법을 체계적으
  • 품질 확보 전략 : 1)품질관리 조직도 품질관리 총괄책임자 품질관리 수요기업 프로세스품질담당 데이터 품질담당 AI 가공품질담당 1명 1명 1명
    2)데이터 품질관리 전략
    – 확보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 품질관리 체계와 프로세스 정의가 필요
    –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품질기준 및 상시 데이터 품질측정, 품질현황 모니터링, 품질개선 활동 지원 등이 필요
    – 데이터를 수집하고 확보할 수 있는 채널이 많아지면서 획득 가능한 데이터의 양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목적 없는 데이터의 수집은 사회적으로 비용만 초래할 뿐 데이터 분석 신뢰성의 하락을 초래
    – 데이터 품질은 프로세스간 연계성을 보장하고, 데이터 분석의 신뢰성을 높여 사실 기반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기반이 됨.
    데이터 품질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데이터 오류의 근본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작업이 상시 수행되어야 함
    – 적절한 데이터 품질 관리의 전략은 필요한 데이터를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게 하기에 데이터 기반의 혁신을 가능하게 함
  • 유지보수 전략 : 1)유지보수 계획 및 목표, 관리 계획
    – 수요기업의 유지보수 계획은 최종 검수 이후 제공된 발전량 예측 서비스 결과물의 오류, 일부 기능변경, 사용방법 개선, 재학습 등의 결과물의 유용성을 높이고, 개선이 필요한 경우는 다음과 같이 분류함분류내용비고하자보수가공서비스의 오류, 솔루션의 비정상 종료, 에러발생, 응답시간 개선, 트랜잭션의 에러 발생오류1년간 무상 하자보수보완개발기존 시스템 기능 변경, 보다 좋은 알고리즘으로 수정, 추가 학습 등 효율적인 사용 목적의 개선사용자 요청, 비용 발생확대개발새로운 기능의 추가 개발사용자 요청, 비용 발생적응유지보수운영 환경의 변화, 데이터처리 환경의 변화환경 변화, 비용 발생사용법 문의사용법 안내, 설치 안내, 비밀번호, 사이트 주소 안내 등유선, 메일을 이용한 안내(무상)추가 유상 교육 실시
    – 유지보수 단계별 처리 절차는 다음의 표와 같음단계내용요청수요기업에서 하자나 기능보완을 위해 유지보수 요청(공문, 이메일, 전화 접수)분석유지보수 담당자는 요청 내용을 접수하여 분석, 검토 의견, 비용, 기간 안내설계 및 처리요청한 유지보수 내용을 검토하여 설계, 처리테스트 및 설치유지보수한 내용을 테스트 후 설치, 검증, 사용자 교육 수행 종료유지보수 결과보고 및 종료
    2)서비스 제공 방안
    – 수요기업의 기존 서버에 탑재하여 제공 또는 공급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 선택 가능 3)협력체계 구축
    – 일회성 개발이 아닌, 향후 발전량 예측 서비스 결과물의 확장성을 고려한 구독형 비즈니스 모델로 지속가능한 협력 체계 구축 제안
  • 카테고리 구분 : 기타
  • 실적 : -강소특구 및 R&D, 지원사업, 민간용역 사업 수행사업명사업내용거래처명계약기간사업금액(천원)성과강소특구 사업화지원IoT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열화율 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플랫폼 개발
    -2021.09 ~ 2022.09250,000솔루션 개발scale up태양광 발전량 예측
    -2022.10 ~2023.0247,000솔루션 개발스마트 에너지시티peak 전력 수요관리 데이터 분석
    -2019.11 ~ 2020.0220,000솔루션개발융복합 콘텐츠고도화real screen 컬링 움직임 분석
    -2020.02 ~2020.0740,000솔루션개발민간용역스마트팜 데이터 처리다담팜테크2022.02 ~ 2022.1041,540솔루션개발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1)기업 개요
    – 2017년 7월 창업, 인공지능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기반 태양광 열화율 분석과 실시간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발전소 유지보수와 발전량예측 제도 사업화 추진
    – 태양광 발전소에 설치된 패널 각각에 센서를 부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진행, 각각 패널의 상태를 인공지능으로 날씨, 온도 등 주변환경과 비교 예측가능.
    – 중장기 태양광 발전소의 경우 수집 데이터 기반 환경요소 및 열화를 반영한 모델을 이용하여 열화율 예측이 가능함.
    따라서 기존 환경 기상자료에 의존한 것보다 훨씬 정밀한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높은 수익성의 확보가 가능
    – 현재 인공지능 프로그램, 데이터 처리 개발 인력보유
    2)핵심역량
    – AI/DT 전문인력 1명, 전략/기획 전문인력 1명, 청년 인력 2명, 여성인력 1명 등으로 구성
    – 강소특구 기술개발, ICT 인공지능, 폴리텍 대학 인공지능 경진대회&교육프로그램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 참여 중
    – 대표자는 에너지 소재, 모듈, 부품, 시스템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기술개발과 국책연구사업을 수행하였으며, 기정원 평가위원과 국세청 정책참여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음.
    – 파워콘스는 에너지분야 유망한 중소기업 중 하나로 선정 두바이에서 기술을 인정받아 에이전트 계약 등 수출판로 개척
    – AI modeling에서 데이터를 가공하고 대량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예측할 수 있는 플랫폼 제공 및 서비스 확대
  • 활용 사례 : 가.
    공급기업 활동을 위한 자원 활용 전략
    1)인적·조직적 자원
    – 일반적으로 수요기업에서는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나, 활용 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요구사항과 예시 데이터를 파악하고 적합한 AI 알고리즘과 방법론 등을 특급개발자가 직접 사전 협의를 수행함
    – 발전량 예측 서비스 개발을 위한 4명의 프로젝트 팀 구성
    – 데이터 전처리, 분석 모델링, 검증 및 보완,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프로덕트 검증, 수요기업 서비스와 모델 결합 단계별 팀장급 이상의 책임 하에 사업 수행
    – 프로젝트 수행중 상시 보고, 월단위 프로젝트 정기 보고 수행, 최종 검수 후 팀장급의 수요기업 교육 수행
    – 참여 인력의 역량 강화를 위한 자체 교육과 MS Azure, 아마존 AWS의 webinar 교육 수행
    2)물적 자원
    – 열화율 예측 알고리즘, TFT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고 오차율을 검증한 발전량 예측시스템인 실시간 전압전류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수요기업이 보유한 특화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요기업 맞춤형 발전량 예측 서비스 제공
    – 보유 기술인 AI modeling에서 데이터 분석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대량의 데이터를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플랫폼과 SaaS 플랫폼 상에 다양한 산업 군별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해 서비스 제공나.
    수요기업 발굴 및 매칭 전략
    1)수요기업 발굴 전략 및 매칭 전략
    – 데이터바우처 홈페이지에서 공급기업 홍보, Youtube 동영상 및 SNS 등 활용 홍보, 외부 학회 및 세미나에서 디지털 전환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 디지털 전환 연대 포럼 회원사로 등재
    – 발전량 예측 솔루션 개발, 디지털 전환 사례 등 기업소개서 매월 업데이트 반영 및 관련분야 기업에게 전달
    – 외부 초청 발표, 학회 및 세미나 발표할 때 기업 담당자들에게 바우처 사업 안내
    2)가공 서비스의 홍보 전략
    – 산업별 AI 가공 서비스 및 솔루션 개발, 디지털 전환 사례 등 기업소개서 매월 업데이트 반영 및 관련분야 기업에게 전달
    – 외부 초청 발표, 학회 및 세미나 발표

(주)한국에너지데이터 소개

  • (주)한국에너지데이터은 2021-04-01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전남 나주시 혁신산단1길 50 에너지밸리산학융합원 기업연구관 317호
  • 주요 서비스 : ○ 가공 서비스 상세정보
    – 데이터 자체를 제공하는 방법 당사에서 관리하는 서버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수요기업이 원하는 인터페이스로 데이터 전송 가능.
    FTP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량의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Open API를 제공하여 수요기업의 프로그램에 직접 수집 가능.
    E
    -mail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거나 대용량 데이터의 링크를 통하여 전송.
    수요기업의 시스템에 직접 접속하여 제공 가능.
    –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하는 방법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조회하여 바로 검색결과를 화면에 출력해주고, 다운로드하는 솔루션 서비스.
    검색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하고 그것을 활용하여 수요기업이 광고 등 플랫폼 사업에 활용할 수 있게 가치 제공(ex.
    고출력 장치, 풍력, ESS 운영 정보 등 특정 관심 분야 타겟 마케팅 광고)
    –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BMS 데이터(배터리 전압, 전류, 온도 정보, SOC, SOH 등)와 PMS 데이터(PCS 전력, DC 링크 전압, 전류 등), PV 데이터(전압, 전류, 일사량, PV 발전량, 역률 등), ESS 내부 환경 정보, 운영 정보를 포함한 종합적인 데이터를 Open API와 데이터 세트 형태 이외에 수요 기업의 요구에 맞춰 인터페이스 제공 가능.
  • 보유 솔루션 : ○ 보유 플랫폼 및 장비Python : 기계학습 및 AI 프로젝트를 통한 알고리즘 구현 툴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지원.
    현재 ESS 빅데이터 분석 툴로 사용하고 있으며 문법이 간단하고 유지보수 관리가 쉽고 다양한 라이브러리로 확장성이 좋음.MySQL : 오픈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현재 ESS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데이터 백업에 사용하고 있으며 Python과의 연동이 편리하고 복원 기능도 우수하며 안정화가 잘 되어있음.
    YOKOGAWA/NI datalogger : 데이터 수집(DAQ)시스템으로 실제 현상을 측정, 기록, 분석하고 표시함.
    전압, 전류, 전력 등의 전기 신호부터 변환기를 통해 온도, 압력, 유량, 변형률, 가속도 등의 데이터를 측정 가능함.
  • 품질 확보 전략 : ○ 품질 확보 전략
    – 사용자(수요기업)의 다양한 활용 목적에 유용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품질목표 설정.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정의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 워크’를 참고하여 구성 요소 간 연관 관계를 분석하고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 조직과 프로세스를 수립.
    – 당사의 개발 프로세스는 기획, 설계, 구현, 테스트, 인증 및 배포의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품질관리 프로세스는 품질관리, 제품 표준화 2단계로 구성됨.
    – 품질관리계획서에 정의된 산출물을 기반으로 단계별 품질관리를 통해 요구사항 정의서와 요구사항 추적표를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데이터를 가공함.
  • 유지보수 전략 : ○ 유지 보수 전략
    – 1차적으로 수요기업과 미팅을 통해 요구사항을 정확히 정의하고, 수요자 맞춤형으로 데이터 가공 진행.
    – 2차, 3차 심화 미팅을 거쳐 가공 데이터를 최종 확정 후 가공을 통해 수요자에게 데이터 제공.
    – 정기적으로 1년간의 사후관리를 통해 데이터에 이상이 발생할 시 원격으로 데이터 가공 유지보수 진행.
    – 데이터 분석 전문 인력이 유지보수를 직접 지원하며, 데이터 가공 서비스 제공 후 6개월간 무상 유지보수를 지원하고, 향후 1년간 유상 유지보수 지원이 가능함.
    자체적으로 해결이 불가능한 부분은 대학 연구소와 협업하여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모델 개발 등의 협업이 가능함.
    – 원격 지원이나 로그 데이터 분석은 상시 지원이 가능함.
    – 가공 데이터는 태양광 연계형, 마이크로 그리드용, 분산 배전용 등 다양한 ESS 목적에 따른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제공.
    – 당사는 데이터 이관에 필요한 데이터 상품내역서, 데이터 항목정의서 등 데이터 산출물을 관리하고 있고 시각화 솔루션이나 API 가이드 문서를 통하여 분석 결과를 활용할 수 있고 활용된 내용은 로그파일을 생성하여 관리하고 있어 근거를 바탕으로 후속 지원이 가능함.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품질,코딩,시각화,분석
  • 실적 : ○관련 실적1.
    강소특구 특화성장 지원사업 (주관)
    – 과제명 : 지능형 센서 기반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안전진단시스템 개발
    – 사업 기간 : 21.07.01~21.12.31
    – 성과 및 실적 : 프로그램 등록 1건, 간접매출 약 3,800만원2.
    기업 Scale Up 지원사업 (주관)
    – 과제명 : 지능형 센서 기반 공장에너지 고장진단 관리플랫폼
    – 사업 기간 : 22.06.13~22.08.31
    – 성과 및 실적 : 프로그램 등록 1건, 전시회 참가 1건, MOU 2건, 간접매출 약 4,000만원3.
    강소특구 기술이전 사업화사업 (주관)
    – 과제명 : AI 센서 기반 사용 후 배터리 안전관리 서비스 플랫폼
    – 사업 기간 : 22.06.01~23.05.31 (수행 중)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 기업개요
    – ㈜한국에너지데이터는 모기업 ㈜비에이에너지와 출자기관 한국전력공사를 통해 2021년 4월 한국전력공사의 연구소 기업으로 설립됨.
    – ㈜한국에너지데이터는 한국전력공사의 우수한 기술을 선별하고 이전 받아, 이를 사업화함에 수출 기업화로 거듭나 지역경제 및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 하는 글로벌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함.현재 ESS 안전관리솔루션 사업 관련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방안을 제시하며, 유지 및 관리는 물론 미래 예측까지 관리에 최적화된 시스템으로 안정성, 효율성, 확장력 있는 지능형 센서 기반 안전관리시스템을 주력으로 사업을 확장하고자 함.○ 핵심 역량
    1)고장감지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 상기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받아온 데이터에 적용하여 고장감지 및 진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웹을 보유하 있음.
    ㈜한국에너지데이터의 ESS의 고장을 발견하고 처리하는 감시 제어 기술의 체계는 비지도학습(Clustering, PCA) 기반 패턴감지와 딥러닝(RNN, DNN, LSTM) 기반 고장데이터 예측으로 나눠짐
    –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관측된 상태 값을 이용하여 설비의 정상/비정상 상태를 판단하고, 고장의 위치와 원인 그리고 발생 시점 등을 분석함
    2) 실시간 이상데이터 확인을 통한 ESS 현장관리
    – 가공기업인 ㈜한국에너지데이터는 32개 현장의 데이터 분석으로 고장 이벤트 발생 시의 정상데이터와 고장 임계값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장 우선순위를 앙상블 기반 특징추출 알고리즘을 통해 선정함
    – 분류를 위한 모델은 나이브 베이즈(Naive bayes), 배깅(Bagging),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XGBoost(Extreme Gradient Boost) 등 다양한 모델을 사용하여 이상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음3) 충/방전 발전량 향상을 위한 최적 스케줄링 알고리즘
    – 가공기업인 ㈜한국에너지데이터는 BMS, PCS 25개 컬럼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바탕으로 딥러닝 기반 배터
  • 활용 사례 : ○활용사례
    – 일반적인ESS시스템의 운영 정보를 종합 관리하는 것으로,배터리의 전압,전류,온도 정보를 배터리 셀 별,랙 별 정보와SOC, SOH등을 포함하는BMS관리 데이터 제공.
    – PCS전력, DC링크 전압전류 등을 포함하는PMS관리 데이터 제공.
    – ESS가동시간,가동률,전력 효율,충방전 상태 등 운영정보를 포함한EMS관리 데이터 제공.
    – ESS함체 내부 온습도,풍속,이산화탄소,분진,결로 등ESS내부 환경 관리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며,기존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상센서 알고리즘을 제작해 센서가 부착되지 않은 배터리 셀,랙 등 기타 장치들의 온습도,결로 등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음.
    -당사가 제공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일반적인ESS시스템의 운영 정보 뿐만 아니라, ESS안전 관리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환경 정보 데이터 및 가상 센서를 통해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활용해ESS안전 운용 분석 데이터로 활용가능함.

주식회사 웨이브쓰리디 소개

  • 주식회사 웨이브쓰리디은 2015-08-13에 설립되었습니다.
  • 주소 : 전남 나주시 혁신산단3길 32-75 (동수동)
  • 주요 서비스 : – AI모델링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가공 및 라벨링,정보추출
    – 3차원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기술 보유(Pointcloud데이터)
    -이상 검출용AI모델 학습을 위한 영상 및 이미지 데이터 가공서비스 제공
    -자체 개발한H/W플랫폼(드론시스템 등)활용한 데이터 수집 및 활용
  • 보유 솔루션 : <; 보유 기술(S/W) >
    – AI 지문 인식 솔루션 S/W(지문 이미지 데이터 가공 및 전처리)
    – 인공지능 태양광 패널 크랙 검출 데이터 처리 S/W(이물질, 열화, 크랙)
    – 풍력발전 블레이드 점검용 크랙 검출 S/W
    – 농작물 생장인식 모니터링을 위한 작물 검출 S/W(양파 등 2종)
    – 인공지능 학습 및 코딩을 통해 구동이 가능한 위한 인공지능 교육용 드론
  • 품질 확보 전략 : –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력을 활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가공 전략 및 플랫폼 고도화를 통한 지속적인 개선
    – 책임급 이상의 특급연구원을 필두로 하여 산출물 및 처리 과정의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지속적 품질 관리를 통한 품질 확보
    – 수요기업과 활발한 매칭이 일어나고 핸들링 해야 할 데이터 양이 방대해질 경우 품질 제고를 위한 전담조직 신설 및 품질 전담인력 채용
    – 공인기관 인증 확보
    – 주기적인 유사 서비스 제공 타사 서비스를 모니터링하며 자사와 비교하며, 타사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계획 추진
  • 유지보수 전략 : – 서비스 공급 비중이 높은 수요기업을 우선하여 세부적인 피드백을 정기적으로 수렴
    – 추가 요구사항 발생 시 win
    -win 전략을 기초로 하여 수요기업과 협의를 통해 요구사항 적극 대응
    – 고객 관리 및 사후지원 전담부서 설립 및 전담인력 채용으로 조직 강화
  • 카테고리 구분 : 전처리,코딩,정보추출또는조합,태깅또는라벨링,분석
  • 실적 : ○ 사업실적
    – 2021.
    서·남해안 갯벌 환경 데이터 수집 및 실증 수행
    – 2020 드론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태양광 판넬 결함진단 AI 솔루션 개발
    – 2019 농작물 생장인식 및 자율 분사 포지셔닝 드론시스템 개발
    – 2019 플랜트 크랙 진단을 위한 인공지능 드론 플랫폼 시스템 개발
    – 2018 풍력발전 블레이드 및 타워의 상시 O&M을 위한 검사 UAV 시스템 개발
  • 기업 개요 및 핵심역량 : ○기업 개요
    – ㈜웨이브쓰리디는 2015년 창립하여 AI
    -5G 융합 4차산업 드론 및 교육 선도 기업으로, AI
    -5G 융합의 스마트 드론센서, 시스템 및 솔루션을 가지고 있고 500개 이상의 혁신적인 AI 및 코딩 교육 컨텐츠를 완성하여 AI/언택트/STEAM/PBL 플랫폼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 RealSpace, Realmarket&Space, RealHuman을 연결하는 3R 이념을 기업 철학으로 가지고 있으며 실시간에 실질적인 장소에서 실질적인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합니다.년도내용2015· ㈜웨이브쓰리디 설립2016· 국가 지역주력기술 개발 선정.
    2년간 2억원 지원· 전남국방벤처 기업선정2017· 글로벌 IP스타기업 선정2018· 미국 CES참가(라스베가스)· 지역특화기술개발 기업선정, 2년간 4.6억원(농작물 생장인식 드론 개발)· 2018년도 미국 커며셜 UAV 엑스포 참가(라스베가스)2019· 호주(브리즈번,시드니),비국(애틀란타),캐나다(벤쿠버)지사 설립2020· 나주 혁신산단 나주본사 착공식 및 확장이전2021· 에너지 특화기업 선정· 한전 1차 협력사 2022· 벤처기업 선정(R&D)· 중소기업 기술혁신 기술개발 과제(AIoT) 선정 2년 5.7억원 지원 · 이노비즈 선정(9월)· 메인비즈 선정(11월)○핵심역량
    – 이미지 데이터 전처리, 코딩을 통한 DB화 및 디지털화, 태깅 및 라벨링 역량을 보유
    – 2019~2020년 데이터 가공 능력을 기반으로 AI 이상 검출 플랫폼 개발
    – 자체 H/W 플랫폼(드론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수집 및 가공처리 실증(서·남해안 갯벌 환경데이터 수집용 드론 시스템)
    – 2021년 지문 이미지 데이터를 가공 및 모델링을 통해 AI 지문적성 솔루션 개발
    – 2022년 국제 IoT 전시회, 인공지능 전시회 출품
    – 2021년 이노비즈(9월), 메인비즈(11월) 기업 선정
    – 디자인, 상표를 포함한 총 26건의 특허 보유(등록기준)
    – 2021년 에너지 특화기업 선정, 한전 1차
  • 활용 사례 : <;서비스 예시>
    -플랜트 크랙 결함 데이터 가공
    -태양광 패널 발열 분포 결함 데이터 가공
    -농작물 생장상태 데이터 가공
    -지문 데이터 라인인식 및 지문 유형 파악을 위한 필요 요소 추출

데이터바우처 사업관리 가공기업 정보

데이터바우처 사업관리 가공기업 정보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바우처 사업을 통해 지정된 공급기업 중 데이터 가공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데이터는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정보를 포괄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수요기업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가공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활용의 범위를 넓히고, 기업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데이터가 보유한 컬럼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한글명(문자형) : 해당 기업의 한글 이름
설립일자(날짜형) : 기업이 설립된 날짜
기본주소(문자형) : 기업의 본사 주소
상세주소(문자형) : 기업의 주소에 대한 추가 정보
주요서비스 상세정보(문자형) : 데이터 가공기업이 제공하는 구체적인 서비스 내용
보유솔루션(문자형) : 기업이 보유한 해결책 및 시스템에 관한 상세 정보
품질확보전략(문자형) : 데이터 품질 확보를 위한 기업의 전략
유지보수전략(문자형) : 데이터 가공 서비스 후속 지원 계획
카테고리구분(문자형) : 제공하는 데이터 가공 서비스의 카테고리 분류
등록일(날짜형) : 데이터가 등록된 날짜
실적(문자형) : 기업의 성과와 실적
기업개요 및 핵심역량(문자형) : 기업의 전반적인 설명과 주요 전문성
활용사례(문자형) : 데이터 및 서비스를 활용한 실제 사례
링크(URL) : 데이터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접근 링크

파일 다운받기

주요서비스 상세정보(요약), 보유솔루션(요약), 품질확보전략(요약), 유지보수(후속지원), 전략(요약), 실적(요약) 등의 일부 데이터 값은 데이터 미집계로 인해 공란이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